도피 1년 권도형, 위조여권에 덜미… 檢, 범죄인 인도 청구 추진

입력 2023-03-25 04:04
권도형. 테라홈페이지 캡쳐

약 51조원 피해액이 발생한 가상화폐 ‘테라·루나 폭락 사태’ 핵심 당사자 테라폼랩스 대표 권도형(32·사진)씨가 도피 11개월여 만에 붙잡혔다. 인터폴(국제형사경찰기구)을 통해 적색수배가 내려진 권씨는 세르비아 인접국인 몬테네그로에서 검거됐다.

경찰청은 24일 권씨로 추정되는 인물이 전날 몬테네그로 포드고리치 공항에서 붙잡혀 지문 정보를 조회한 결과 권씨가 맞는 것으로 이날 새벽 확인됐다고 밝혔다. 권씨와 함께 공항에서 검거된 측근 한모씨 또한 지문 정보 대조를 통해 본인임을 확인했다.

권씨는 코스타리카 위조 여권을 갖고 두바이행 비행기에 탑승하려다 덜미가 잡혔다. 코스타리카 여권에는 권씨의 본명과 실제 생년월일이 기재됐다. 압수된 소지품 중 벨기에 여권·신분증은 가명을 사용했다. 몬테네그로 당국은 국경 검문 이력을 확인한 결과 이들이 몬테네그로에 입국한 기록이 없다고 전했다.

지난해 4월 권씨는 테라·루나 사태가 발생하기 직전 싱가포르로 도피했다. 이후 아랍에미리트(UAE)로 향하는 항공권을 발권한 이력은 있지만, UAE 입국 기록은 없는 등 정확한 소재가 파악되지 않았다. 다만 측근 한씨의 소재가 세르비아로 확인돼 수사당국은 권씨 역시 세르비아에 있을 것으로 봤다. 같은 해 9월 수사당국은 인터폴에 적색수배를 요청했고 지난 1월 세르비아에 긴급인도구속을 청구했다. 긴급인도구속이란 인도 청구를 전제로 범죄인을 체포·구금하는 것이다.

권씨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남부지검은 이날 법무부를 통해 범죄인인도를 청구하겠다고 밝혔다. 또 몬테네그로에도 긴급인도구속을 청구해 권씨가 석방되지 못하도록 조치할 예정이다. 우리 수사당국은 최대한 신속하게 송환 절차를 진행하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미국과 싱가포르도 권씨를 수사대상에 올려놓고 있어 송환이 어려워질 가능성도 있다.

미국 뉴욕 검찰은 이날 증권사기, 시세조작 등 8개 혐의로 권씨를 기소했다고 밝혔다. 싱가포르 경찰도 권씨에 대한 수사를 진행 중이다. 만일 이들 국가가 권씨에 대한 범죄인인도를 청구할 경우 몬테네그로 당국 판단을 기다릴 수밖에 없다. 신병 인도 권한은 몬테네그로에 있기 때문이다. 법무부와 검찰은 외교 채널을 통해 몬테네그로 측과 접촉하는 한편, 법무부 소속 검사를 현지에 파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앞서 지난해 5월 한국산 가상화폐 테라·루나의 가치가 고점 대비 99% 이상 떨어지는 등 대규모 폭락 사태가 발생했다. 투자자들은 권 대표를 사기 혐의로 서울남부지검에 고소했다. 검찰은 테라·루나 코인을 ‘투자계약증권’이라고 보고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를 권씨에 적용했다. 투자계약증권이란 이익을 기대하고 공동사업에 금전을 투자해 결과에 따라 대가를 받는 형식의 증권을 의미한다. 검찰은 권씨가 실제 공동사업을 수행하지도 않는 등 사기적 부정거래를 저질렀다고 보고 있다.

이가현 박재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