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광역버스 준공영제를 내년 하반기에 도입한다고 23일 밝혔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버스운송업체 경영난으로 촉발된 광역버스의 운행 감축, 무정차 통과, 노선 폐지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다.
특히 운수종사자 채용이 제대로 되지 않아 발생하는 광역버스 운행 감차·감회 문제도 해결될 전망이다. 시내버스 운수종사자 임금은 준공영제 등을 통해 최근 4년간 25% 인상됐다. 반면 준공영제가 도입되지 않은 광역버스 운수종사자 평균 임금은 시내버스 운수종사자보다 140만원가량 적은 상태다.
현재 인천의 광역버스 준공영제 대상은 직행좌석 업체 7곳, 노선 19개, 버스 251대와 광역급행(M버스) 업체 5곳, 노선 6개, 버스 75대다.
준공영제 운영 방식은 직행좌석의 경우 수익금공동관리형, 광역급행은 노선입찰형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수익금공동관리형은 버스운송업체 노선 소유권을 인정하되 운영 비용을 모두 보전하는 대가로 배차권 및 노선 조정권 등을 갖는 방식이다. 노선입찰형은 최저 보조금을 제시하는 버스운송업체에 한시 면허를 부여하는 형태다.
시는 앞으로 관련 연구용역을 통해 적정 표준운송원가를 산정하고 다른 지방자치단체 준공영제 운영에서 나온 문제들의 개선방향을 살피는 등 광역버스 준공영제 도입 준비를 이어나갈 방침이다. 아울러 광역버스 준공영제 도입 전까지 버스운송업체 적자 완화와 운수종사자들의 처우 개선을 위한 재정 지원을 확대한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시의 적극적인 역할로 광역버스 준공영제가 도입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