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 착수 539일 만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재판에 넘긴 검찰은 앞으로 대장동 사건의 또 다른 줄기인 ‘50억 클럽’ 로비 의혹 수사에 화력을 집중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한 유일한 피고인인 곽상도 전 의원이 1심에서 무죄를 받은 데다 정치권에서 특검 카드로 압박하고 있어 검찰로서도 진전된 성과를 내보여야 하는 상황이다.
서울중앙지검 관계자는 22일 “반부패수사1부는 50억 클럽과 백현동 개발 비리 의혹 수사에, 반부패수사3부는 곽 전 의원 항소심 공소유지와 관련 사건 수사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검찰은 우선 박영수 전 특별검사를 정조준하는 모습이다. 박 전 특검은 2014년 대장동 민간사업자 구성 논의 과정에 관여하면서 컨소시엄에서 부국증권을 배제하는 데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검찰은 최근 부국증권 부사장을 불러 진술을 청취했다. 박 전 특검은 2015년 7월~2016년 11월 화천대유 고문으로 있으면서 2억5000만원을 받았다. 그의 딸은 3년가량 화천대유에서 근무했고, 대장동 아파트를 분양받기도 했다. 한 법조계 관계자는 “여러 정황상 남은 50억 클럽 멤버 중 박 전 특검이 우선 타깃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수남 전 검찰총장과 권순일 전 대법관도 사정권에 들어 있다. 검찰은 최근 김만배씨의 범죄수익은닉법 위반 혐의 공소장에 2021년 8월 대장동 의혹이 불거지자 김씨가 김 전 총장을 만나 대책을 논의했다는 내용의 ‘가시’를 넣어뒀다.
권 전 대법관은 ‘재판거래’ 의혹에 여전히 묶여 있다. 앞서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2020년 7월 이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무죄 취지로 파기환송했는데, 김씨와 친분이 있던 권 전 대법관이 무죄 의견에 힘을 실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권 전 대법관은 그 두 달 뒤 퇴임해 화천대유 고문에 이름을 올렸다.
백현동 특혜 개발 의혹, 정자동 호텔 개발 비리 의혹 등에 대한 수사도 이어진다. 이 대표에 대한 추가 소환조사 및 구속영장 재청구 가능성도 열려 있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