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대 후 지지율 하락 ‘역컨벤션 효과’… 난감한 김기현호

입력 2023-03-20 04:07 수정 2023-03-20 04:07
강민국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이 19일 국회에서 한·일 정상회담 관련 더불어민주당의 비판을 반박하는 논평을 발표하고 있다(왼쪽 사진). 임오경 민주당 대변인이 국회 브리핑에서 독도·위안부 문제가 정상회담에서 거론됐는지 진실을 밝히라고 대통령실에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 체제’가 출범 열흘을 조금 넘긴 시점에 당 지지율이 떨어지는 ‘역컨벤션 효과’라는 난감한 상황에 빠졌다.

한국갤럽이 지난 17일 공개한 여론조사 결과에서 국민의힘 지지율은 34%를 기록했다. 전주보다 4% 포인트 떨어진 수치다. 통상적으로 전당대회 직후 지지율이 오르는 ‘컨벤션 효과’를 누리지 못하고, 오히려 지지율이 하락하는 역컨벤션 상황에 직면한 것이다. 한국갤럽 조사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도 전주보다 1% 포인트 떨어진 33%를 기록했다.

여권은 ‘대일 저자세 외교’ 논란과 ‘주 최대 69시간 근로’ 논란이라는 ‘쌍둥이 악재’에 휩싸여 있다. 김 대표가 이들 악재의 파편을 맞았다는 분석도 나온다.

김 대표 체제 등장 이후 국민의힘 지지율이 떨어지는 것과 관련해 크게 세 가지 이유가 거론된다. 우선 윤 대통령이 강제징용 해법 등 민감한 사안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김 대표가 중재자 역할을 맡지 못하면서 ‘예스맨’ 이미지가 굳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두 번째는 근로시간 개편 문제를 두고 뾰족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점이다. 끝으로 당권 경쟁자들과 화학적 결합을 이뤄내지 못했다는 ‘연포탕(연대·포용·탕평) 실패론’도 김 대표의 발목을 잡고 있다.

김 대표는 19일 취임 후 첫 고위당정협의회에서 “정부 입안·발표 이전에 당과 정부, 대통령실 간에 충분한 논의와 토론이 선행돼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고 말했다. 이어 “어떤 정책이든 한 번 발표되고 나면 현장에서 느끼는 파급 효과가 매우 크고 때로는 취지와 다르게 다른 부분이 확대 해석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를 두고 ‘주 최대 69시간 근로’ 논란과 관련해 정부 부처에 낮은 수준의 ‘군기잡기’에 나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당정은 이날 당초 안건에 없던 근로시간 개편 문제도 논의했다. 입법예고 기간 동안 MZ세대와 노조 미가입 노동자 등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듣고 관련 여론조사도 실시해 근로자의 권리가 충분히 보장되는 방향으로 보완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또 당정은 은행의 높은 대출금리, 난방비, 전기료 등과 관련해 서민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키로 의견을 모았다.

조진만 덕성여대 교수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김 대표가 단순 관리자가 아니라 대통령과 소통하는 적극적 조정자 역할을 보여줄 수 있는지가 내년 총선 승리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구자창 박성영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