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은 윤석열 대통령의 16~17일 일본 방문을 계기로 일본과 경제 분야의 장관급 협력 체계를 조속히 복원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윤 대통령은 방일 이틀째인 17일 한·일의 대표적 재계 단체인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와 게이단렌(일본경제단체연합회)이 주최하는 ‘한·일 비즈니스라운드테이블’에 참석해 경제협력 비전을 제시할 계획이다.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15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갖고 “정부는 그간 중단된 양국 간 재무·통상·과학기술 등 경제분야 장관급 협력채널을 조속히 복원할 것”이라며 “일본과의 관계 개선은 우리에게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강조했다.
최 수석은 한·일 경제관계 개선이 시급한 이유로 세 가지를 꼽았다. 그는 “첫 번째는 공급망 재편에 대한 대응, 두 번째는 수출시장 확대, 세 번째는 과학기술 협력 강화”라고 설명했다.
최 수석은 공급망 재편과 관련해 “(일본은) 글로벌 공급망 파트너로서 이미 중요한 나라이고, 새로운 경제안보 공동체의 핵심국가”라며 “양국 간 공급망 협력이 효과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면 우리 경제와 산업에 발생할 수 있는 손실과 기회의 상실이 매우 클 것”이라고 밝혔다. 최 수석은 또 수출시장 확대에 대해 “교역 파트너로서도 일본은 과거보다 훨씬 호혜적인 관계에서 우리 수출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한·일 관계가 개선될 경우 배터리 등 우리 수출 품목의 대일 수출이 보다 확대되고, K팝 등 한류 확산을 통해 콘텐츠 소비재의 일본 진출이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 수석은 과학기술 협력과 관련해 “(일본은) 신기술·신산업을 공동 연구·개발할 최적의 파트너”라며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전략기술과 일본의 강점이 있는 기초과학의 공동연구를 통해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윤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16일 일본 도쿄에서 열리는 한·일 정상회담이 끝난 뒤 공동선언을 발표하지 않을 예정이다. 대신 양국 정상은 공동 기자회견에서 회담 결과를 각각 설명할 계획이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공동 선언이 이뤄지지 않는 데 대해 “10여년간 한·일 관계가 계속 경색됐고 2018년 이후 여러 중요 사건이 일어나며 불신이 가중됐다”며 “이후 양 정상이 처음 만나는 자리에서 그간 입장을 총정리하고 정제된 문구를 다듬기엔 시간이 부족했다”고 말했다. 다만, 다음 회담에서는 한·일 공동선언이 발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윤 대통령은 17일 전경련과 게이단렌이 주최하는 ‘한·일 비즈니스라운드테이블’에 참석해 한·일 경제협력 비전을 제시하고 양국 관계 정상화에 기여한 기업인들을 격려할 계획이다. 이 행사는 오찬을 겸해 이뤄진다. 한국 측에서는 김병준 전경련 회장 직무대행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등 4대 그룹 총수가 참석한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