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36개 특화 보육 정책 사업에 도비 1535억원을 투입한다고 13일 밝혔다.
교사 대 영아 비율을 축소한 0세 전용 어린이집을 현재 313곳에서 335곳으로 확대하고, 차별 없는 보육을 위해 외국인 자녀 9997명에게 월 10만원의 보육료 지원을 신규사업으로 추진한다.
국공립어린이집 75곳에 공기순환기도 새로 설치한다. 오래된 민간·가정어린이집의 환경개선을 위해 신규로 250곳에 각각 200만~300만원을 지원한다. 동화·동요를 들려줄 수 있는 인공지능(AI) 로봇 임대(40대, 어린이집 240곳)와 찾아가는 체험형(AR) 버스 운영을 시행한다.
보육 교직원 고충처리 창구를 운영하며 심리상담, 노무 상담 및 교육을 지원해 근무 환경을 개선하고 노동권을 보장한다. 보육 교직원 처우 개선비를 1인당 최대 월 57만원까지 지원하고 보조교사 및 연장보육 전담교사 1만7750명을 지원해 담임교사의 업무부담을 줄인다. 보육교사의 쉴 권리를 위한 대체교사 994명도 지원한다. 경기도형 보육컨설턴트 36명을 통해 어린이집 재무회계, 평가제 관련 컨설팅 및 맞춤형 교육을 실시한다.
부모들이 안심하고 일할 수 있도록 야간연장어린이집 1850곳을 운영하며 어린이집을 이용하지 않는 영아에게 긴급·비상시 보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간제 보육 서비스도 96곳 운영한다.
신규 사업으로 국공립어린이집 165곳을 새로 확충한다. 민간·가정어린이집 중 우수한 어린이집을 선정·지원해 국공립어린이집 수준의 보육 품질을 제공하는 공공형 어린이집도 지난해 623곳에서 650곳으로 확대한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