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경상수지가 45억여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월 기준으로는 통계 집계 이래 최대 규모다. 최악의 성적표를 받아 든 원인으로는 수출 부진, 해외여행 증가로 인한 서비스 수지 적자 등이 꼽힌다.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1월 경상수지는 45억2000만 달러(약 5조9664억원) 적자다. 관련 통계가 시작된 1980년 1월 이후 최대 적자다.
74억6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한 상품수지 영향이 컸다. 수출(480억 달러)이 전년 동월 대비 14.9%나 줄어든 상황에서 수입(554억6000만 달러)은 지난해 1월보다 1.1% 늘었다. 수출에서 수입을 뺀 이 수치가 큰 폭의 적자를 기록한 것은 반도체 부진 때문이다. 반도체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43.4%나 감소했다.
서비스 수지도 전년 동월(-8억3000만 달러)보다 대폭 늘어난 32억7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경기 침체로 소비가 위축된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코로나19 방역 완화로 늘어난 해외여행 수요도 적자를 키웠다. 입국 여행객은 적은데 해외여행은 급증해 여행수지 적자는 전년 동월(5억5000만 달러)보다 3배 가까운 14억9000만 달러까지 불어났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