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10년 만에 OLED(올레드) TV 신제품을 내놓았다. 글로벌 경기침체 상황에서도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관측하는 올레드 TV의 비중을 높여 실적 개선을 이룬다는 포석이다. 삼성전자는 LG전자를 뛰어넘을 무기로 ‘밝음’과 ‘선명함’을 앞세웠다.
삼성전자는 네오 QLED, 올레드 등 2023년 TV 신제품을 국내 시장에 공식 출시한다고 9일 밝혔다. 77·65·55형의 3가지 크기로 구성했다. 삼성전자가 올레드 TV를 국내 시장에 선보이기는 2013년 이후 10년 만이다. 삼성전자는 2013년 올레드 TV를 출시했다가 수율 문제로 사업을 접고 LCD TV에 주력해왔다. 하지만 지난해 북미 유럽 등에 올레드 TV 2종(65·55형)을 내놓으면서 올레드 TV 시장으로의 복귀를 선언했다.
삼성전자는 올레드 패널의 아쉬운 점으로 꼽는 밝기와 선명함을 ‘역전의 무기’로 삼았다. 저전력, 고명암비 등 올레드 기술이 지닌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높은 수준의 밝기와 색상을 구현했다. 삼성전자는 “‘퀀텀 HDR OLED+’로 밝은 영상이나 어두운 영상에서도 디테일까지 선명하게 볼 수 있고, 자체 발광 픽셀이 블랙에서 화이트까지 원색에 가까운 색상을 구현한다”고 강조했다. 약 11㎜의 얇고 균일한 두께도 강점으로 내세웠다. 벽걸이로 설치할 때 틈 사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최근 이슈로 떠오른 ‘번인 현상’에 대해서는 침묵했다. 서울 서초동 사옥에서 신제품 체험행사를 진행하면서 올레드 TV 신제품 관련 별도의 질의응답 시간을 갖지 않았다. LG전자가 전날 올레드 출시 10주년 행사를 진행하면서 삼성전자 올레드 TV의 번인 현상에 대해 “LG전자 제품은 10년 간의 노하우로 번인 현상을 없앴다”며 우회적으로 공격한 것과 대조적이다. 삼성전자는 대신 체험장 한쪽에 “삼성만의 기술과 노하우로 만든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모니터, TV까지 진정한 올레드 강자”라는 문구를 새겨 넣어 기술 우위에 대한 자신감을 피력했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