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무등산 국립공원 케이블카 설치를 둘러싼 찬반 논란이 재점화하고 있다. 환경부의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 조건부 허가 이후 환경단체의 여전한 반대 속에 무등산에도 이를 운행해야 한다는 여론이 다시 고개를 들었다.
무등산 자연환경보존 케이블카설치 범시민운동본부와 광주시민·사회단체총연합은 8일 광주시의회 시민소통실에서 케이블카 도입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했다. 이들은 “광주는 매력적 관광자원이 부족하고 문화관광 콘텐츠가 취약하다”며 “장애인과 고령자 등 이동약자를 포함해 누구나 안전하고 편안하게 유네스코 자연문화 유산인 무등산을 탐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문적인 등산장비 없이도 정상에 쉽게 오를 수 있는 케이블카는 관광객 유치와 상권 형성, 일자리 창출에 도움이 될 뿐아니라 수많은 탐방객들이 여러 갈래의 산악 등반로를 오가지 않게 돼 생태계 보호에 오히려 도움이 된다는 논리다.
전남 여수의 관광명소가 된 해상 케이블카는 2014년 12월 개통 이후 1000만명이 넘는 관광객 유치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3.23㎞의 국내 최장 구간인 목포 해상케이블카 역시 2019년 9월 개통 3개월만에 58만명이 다녀가는 등 관광 활성화를 이끌고 있다.
하지만 지역 환경단체들은 무등산 정상을 더 많은 탐방객이 찾게 되면 환경훼손이 가속화될 수밖에 없다며 반대하고 있다. 케이블카 운영을 위한 도로와 부대시설이 불가피하게 환경과 생태계 파괴를 불러온다는 것이다. 환경부는 지난달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설치사업에 조건부 동의하면서 케이블카 설치 사업에 불씨를 지폈다.
광주시는 무등산 케이블카 설치 여부에 대한 시민들의 여론을 신중하게 주시하고 있다. 무등산의 접근성을 높여 침체한 관광산업 숨통을 터주자는 찬성 의견과 후손들에게 광주의 명산을 온전히 물려줘야 한다는 반대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면서 지역사회의 갈등과 반목이 재현되지 않을까 우려하는 분위기다. 시 관계자는 “설악산 케이블카의 허가에 따라 무등산 케이블카 설치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올랐지만 현재 이를 검토하거나 결정한 것은 아무 것도 없는 백지상태”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