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찬(1938-2005)은 ‘골목 사진가’로 불렸다. 1968년부터 1990년대 말까지 30여년에 걸쳐 중림동, 문래동, 행촌동, 행당동, 도화동 등 서울의 달동네를 다니며 골목 풍경을 찍었다. 서울역 뒤 산동네인 중림동을 특히 사랑했다.
그는 2003년 출간한 마지막 사진집 ‘골목안 풍경 30년’에서 골목을 테마로 선택한 이유를 밝혔다. “1960년대 말. 사진 찍는 것이 좋아서 카메라 한 대만 달랑 메고 서울역과 염천교 사이를 오가며 삶에 지친 사람들을 찍다 흘러든 곳이 중림동 골목이었다… 처음 그 골목에 들어서던 날, 왁자지껄한 골목의 분위기는 내 어린 시절 사직동 골목을 연상시켰고, 나는 곧바로 ‘내 사진의 테마는 골목안 사람들의 애환, 표제는 골목안 풍경, 이것이 내 평생의 테마다’라고 결정해 버렸다.”
김기찬은 생전에 ‘골목안 풍경’이란 제목의 연작 사진집을 6권까지 출간했다. 사후에는 그의 전작을 모아 만든 ‘골목안 풍경 전집’(2011년)이 제작돼 8쇄까지 찍었다. ‘격동기의 현장’ ‘윤미네 집’과 함께 한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사진집이 되었다.
김기찬의 사진은 이제는 모두 사라져버린 서울의 골목 풍경과 도시 서민들의 생활상에 대한 역사적 기록으로 남아있다. 또 재개발로 살던 집과 동네를 잃어버린 서울 토박이들에게는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옛 앨범이 되었고, 지금의 아파트 시대가 잃어버린 것들을 돌아보게 하는 질문으로서도 가치를 갖는다.
이번에 출간된 ‘골목안 풍경’은 김기찬 사후 18년 만에 발간되는 대표사진 선집이다. ‘골목안 풍경’ 1∼6권에서 사진을 고르고, 유족이 보관해온 필름 중에서 새로 골목 사진을 발굴해 100여장을 추가해 총 277장의 사진을 실었다.
이규상 눈빛출판사 대표는 “김기찬의 사진은 도시에서 살아가는 서민들의 ‘골목일기’라고 할 수 있다”면서 “사진집이 모두 절판된 이후 대중판으로 만든 ‘골목안 풍경 전집’ 외에 변변한 대표사진집 한 권이 없어 늘 아쉽고 송구스러웠다”고 출간 배경을 밝혔다. 새로 공개되는 사진들은 작가의 부재로 정확한 촬영일자와 장소를 확인할 수 없었다. 그래서 필름 파일에 적힌 생산일자를 따라 ‘서울, 1967-1970’ 식으로 표기할 수밖에 없었다.
수록된 사진은 모두 흑백이다. 사진의 주인공은 아이들인 경우가 많다. 가난한 풍경 속에서도 아이들은 너무나 환하다. 아이들에게 골목은 놀이터였다. 어른들에게도 골목은 공유공간이자 사랑방이었다.
마지막 5부는 골목의 마지막 풍경을 스산하게 보여준다. 집들은 부서졌고 골목은 사라졌다. 건물 잔해 위에 집 한두 채, 사람 한두 명이 위태롭게 서있다. 그렇게 김기찬의 골목 사진 작업도 끝났다.
“1980년 중반부터 시작한 재개발 사업은 공덕동으로 번지고 공덕동에서 인왕산 밑 행촌동으로 건너뛰었다. 1997년, 결국은 중림동도 그 운명을 다했다. 높다란 아파트가 들어섰고 그곳에 살던 골목안 사람들은 모두 어디론가 흩어져버렸다.”
사진집 출간과 함께 서울 인사동 갤러리 인덱스에서 김기찬 사진전 ‘Again 골목안 풍경 속으로’(4월 3일까지)가 열리고 있다. 엄선한 골목 사진 30점을 선보인다.
김남중 선임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