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제2공항 사업이 환경부 문턱을 넘었다.
환경부는 제주 제2공항 건설에 대한 ‘조건부 협의(동의)’ 의견을 담은 전략환경영향평가 결과를 국토교통부에 통보했다고 6일 밝혔다. 이로써 제주 남동쪽 서귀포시 성산읍 온평리 545만7000㎡ 부지로 예정된 제주 신공항 사업은 길이 트이게 됐다. 환경부는 “한국환경연구원을 비롯한 전문기관의 검토를 거친 결과 2019년부터 3년 이상 평가서 보완 과정을 거쳐 자연 및 생활환경에 대한 환경보전 대책이 마련된 것으로 판단했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2019년 6월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환경부에 냈다. 이후 본안 제출, 1차 보완 및 추가 보완 작업까지 거쳤으나 환경부는 결국 평가서를 반려했다. ‘조류와 서식지 보호’ ‘항공기 소음 영향’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맹꽁이 보호’ ‘천연기념물 두견이와 남방큰돌고래 보호 대책’ 등이 미흡하다는 이유였다.
국토부는 현 정부 들어 지난 1월 환경부에 다시 협의를 요청해 결국 조건부 동의를 받아냈다. 제2공항 건설은 윤석열 대통령의 제주 지역 핵심 공약이기도 하다. 다만 이번 동의로 제2공항 건설이 확정된 건 아니다. 제2공항 기본계획 고시 뒤 환경영향평가가 진행돼야 하는데 제주특별법에 따라 협의기관은 환경부가 아닌 제주도다. 제주도 내 여론의 영향을 크게 받을 것으로 보인다.
오영훈 제주지사는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환경부는 제주도에 환경영향평가 판단을 미뤘고, 국토부는 주민설명회나 공청회 개최를 진행하지 않는 등 제주도민을 배제했다”며 “70만 도민을 대표하는 도지사로서 매우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말했다. 제2공항 건설 반대 단체들은 전체 주민투표를 요구했지만, 찬성하는 측에서는 환영 입장을 밝혔다.
이도경 기자, 제주=문정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