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방울그룹 불법 대북송금 의혹 피의자인 이화영(사진)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 측이 2018년 북측에 ‘쌀 10만t 지원 친서’를 보냈다는 의혹에 대해 “허황된 얘기”라고 반박했다. 검찰은 그간 이 전 부지사에 대해 수차례 대질조사를 진행했지만, 그는 “차라리 빨리 기소해 달라”고 반발하고 있다.
6일 법조계에 따르면 수원지검 형사6부(부장검사 김영남)는 전날 외국환거래법 위반 혐의 등으로 이 전 부지사에 대한 4차 소환조사를 진행했다. 검찰은 지난달 22일에 이어 이 전 부지사와 김성태 전 쌍방울 회장의 대질신문을 진행했다. 이번 조사에서도 양측은 평행선을 달렸다. 김 전 회장은 ‘이 전 부지사 요구로 대북송금을 했다’는 취지로 주장했지만 이 전 부지사는 연관성을 거듭 부인했다.
검찰은 북측 인사가 2018년 11월 ‘경기도가 북한 스마트팜 사업 비용을 지원하지 않는다’며 김 전 회장에게 화를 냈고, 이후 이 전 부지사가 북측에 편지를 쓴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편지에는 ‘경기도가 쌀 10만t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하는 내용이 담겼다고 한다. 안부수 아태평화교류협회장은 자신이 이 편지를 북한에 전달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전 부지사는 이날 이런 의혹에 대해 변호인을 통해 “쌀 10만t 지원 친서를 작성해준 사실이 없다”고 반박했다.
이 전 부지사는 쌍방울 관계자들에게 포위된 형국이다. 방용철 전 쌍방울 부회장은 지난 3일 재판에서 “쌍방울이 현대나 삼성도 아니고, 500만 달러는 김 전 회장 개인 돈인데 확신이 없으면 미치지 않고서 누가 그걸 내겠나”라고 증언했다. 그는 이 전 부지사에 대한 뇌물공여 혐의를 지금에 와 인정한 이유에 대해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린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검찰은 경기도가 스마트팜 사업비 조달이 어려워지자 김 전 회장이란 ‘우회로’를 통해 북한에 500만 달러를 전달한 것으로 본다. 경기도가 2018년 추진한 북한 스마트팜 사업에 대해 당시 도의회에서는 “북한에 스마트팜은 좀 사치 같다”는 비판이 나왔었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