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차기 대표이사 선임 절차가 잇단 잡음으로 뒤숭숭하다. 최종 후보 1인이 선정되더라도 가시밭길을 걸을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당장 정기 주주총회에서 ‘국민연금 문턱’부터 넘어야 한다.
6일 이동통신 업계에 따르면 KT는 7일 차기 대표 최종후보 1인을 선정한 뒤 이달 말에 정기 주주총회를 열어 대표 선임안을 의결할 계획이다. 다만 KT 안팎에서는 ‘후보 일괄 사퇴’ 가능성까지 거론되면서 혼란이 이어지고 있다. 여권에서 ‘구현모 체제 연장 꼼수’라는 비판이 계속되는 데다, 대통령실마저 가세하면서 갈등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최종 1인으로 누가 뽑히든 최대 주주인 국민연금의 찬성을 얻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국민연금은 그동안 구 대표의 연임에 적극적으로 반대하면서 차기 대표 선임 과정에 개입해왔다. 구 대표가 연임을 포기하면서 국민연금의 개입 명분은 줄어들었다. 하지만 여당과 대통령실에서 ‘후보 4인’에 대해서 불쾌감을 드러낸 상황이라 국민연금이 이런 기류를 거스르기 힘들 것이란 분위기가 감지된다. 국민연금이 정기 주주총회에서 반대표를 던질 가능성이 남은 것이다.
지난 3일 기준으로 KT의 지분은 국민연금 8.53%, 신한은행 5.46%, 현대차 4.69%, 현대모비스 3.10% 등으로 구성돼 있다. 국민연금이 대표이사 선임에 반대하더라도 신한은행과 현대차에서 찬성하면 선임안을 통과시킬 수 있다. 단, 국민연금은 신한금융지주 지분 8.29%를 지닌 최대주주이고, 현대차 지분 7.78%를 보유한 2대 주주다. 두 회사도 국민연금 눈치를 볼 수밖에 없다.
정기 주주총회에서 차기 대표 선임안을 부결하면, 절차는 다시 원점으로 돌아간다. 경영 정상화까지 수개월 뒤로 밀리게 된다. 국민연금 찬성을 끌어내 차기 대표 선임이 이뤄지더라도 KT는 사업 추진에 상당한 부담을 안을 수 있다. 이동통신 서비스는 기간산업인 만큼 정부 인허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이동통신 업계 관계자는 “정부와 불협화음으로 첫발을 떼면 사업 추진에 애를 먹을 수 있다. 어떤 경우라도 경영 공백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