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2023년 부산형 지역특화 일자리사업’으로 13개를 선정하고 10억7000만원을 지원한다고 5일 밝혔다.
부산형 지역특화 일자리사업은 구·군과 일자리 관련 비영리 법인·단체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지역 특성에 맞는 인력양성 및 취업 연계 일자리 사업을 발굴하는 사업이다.
시는 이를 통해 지역 일자리 문제를 더욱 주도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사업은 교육훈련, 취업 연계, 기업지원 등 3개 분야로 진행한다. 시는 16개 구·군을 대상으로 공모를 진행해 접수된 25개 사업을 대상으로 심사위원회의 평가를 거쳐 13개 구·군의 13개 사업을 최종 선정했다.
선정된 사업을 보면 부산진구는 부산롯데호텔, 부산진여성인력개발센터와 협업해 일자리를 원하는 다문화가정 여성에게 호텔 서비스 전문 교육을 해주는 ‘호텔객실관리자 양성’ 과정을 진행한다. 금정구의 경우 봉제공장이 밀집한 지역 특성을 반영해 부산경남봉제산업협동조합과 협력해 디지털 봉제 기술 인력을 양성하고 조합 회원사에 취업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북구는 부산과학기술대학교의 ‘자율주행 자동차 데이터 주석자(레이블러) 양성’ 사업을 시행하고, 금정구는 부산외국어대가 추진하는 ‘파워반도체 전문인력 양성’ 사업 등에 보조를 맞춘다. 사상구와 사상여성인력개발센터가 추진하는 ‘현장 맞춤형 대체인력 여성일자리 창출’ 사업도 포함됐다.
이밖에 서구·영도구의 ‘지역 맞춤 근로생애 설계 전문인력 양성’, 동래구의 ‘노인복지 맞춤형 사회복지 전문인력 양성’, 해운대구의 ‘지역공예가(로컬 크래프터) 육성 지원’, 사하구의 ‘경력단절여성 어린이집 연장보육교사 일자리 창출’, 연제구의 ‘스마트 법률행정사무원 양성’, 수영구 ‘호텔 서비스 전문인력양성’, 기장군 ‘전기내선설비 실무인력 양성’ 등이 선정됐다.
이번 사업에 선정된 13개 구·군은 올 한 해 총 350명이 취업 또는 창업하도록 적극 사업을 추진한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