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8일 오전 5시30분쯤 부산 공동어시장은 분주했다. 경매 시작을 30분 앞두고 공동어시장을 바쁘게 오가는 사람들은 상인과 경매사, 도·소매상뿐만이 아니었다.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수품원) 직원들이 유통되기 전인 생선을 종류별로 선별해 봉투에 넣고, 아이스박스에 담아 수품원 부산지원 분석실로 가져가고 있었다. 방사능 오염을 검사하기 위해서다.
일본 정부가 원전 오염수 해양 방출을 앞두면서 해양수산부는 해양 수산물과 바닷물, 선박 평형수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가장 우려가 큰 건 수산물이다. 어시장에서 가져온 생선들은 3시간 넘게 정밀검사를 받는다. 요오드와 세슘이 식품 방사능 기준치를 초과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다. 현재까지 기준치를 초과하는 수산물은 없었다. 해수부에 따르면 지난해 수산물 5441건에 대해 진행한 방사능 검사는 모두 ‘적합’ 결과가 나왔다. 이날 공동어시장에서 채취한 고등어와 방어 등에서도 요오드와 세슘이 검출되지 않았다.
이런 검사는 바닷물에 대해서도 진행된다. 해양 방사능 조사는 주요 정점에서 이뤄지는데, 올해부터는 총 52개 정점으로 조사 지역을 늘려 모니터링 중이다. 해양 방사능 조사는 주요 정점에서 격월로 이뤄진다. 부산에서는 조사 2호선이 해수면에서 0.5m 부근인 표층, 바닥에서 1.5m 부근인 저층에서 각각 바닷물을 퍼 올린다. 바닷물은 80ℓ짜리 통 4개에 담겨 해양환경조사연구원으로 옮겨진다.
연구원에서는 측정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방문자 모두에게 방진복, 방진 덧신을 신게 한다. 전처리실에서는 해수에 노란색 시약을 넣어 반응을 시킨다. 시약은 해수에 있는 세슘과 가장 먼저 결합하는 성분으로, 전처리 과정을 거쳐 방사능 농도를 측정한다. 해양환경공단은 2015~2022년 전체 해역의 방사능 농도 범위가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전과 유사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모니터링 결과는 해양수산부 홈페이지와 해양환경정보포털에 공개된다.
정부는 선박평형수를 통한 오염수가 국내에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도 하고 있다. 후쿠시마 인근 6개 현에서 선박평형수를 주입한 선박은 우리나라 관할수역 밖에서 선박평형수를 교환한 뒤 입항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다만 외국 선박에는 이런 조치를 강제하기는 어렵다.
정부의 안전성 조사가 이뤄지고 있지만 불안감은 쉽게 사라지지 않는 모습이었다. 부산 공동어시장의 한 어민은 “오염수 방류 전에 조치를 해야지 방류 후에 조사하면 무슨 소용이 있느냐”고 말했다.
부산=글·사진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