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미분양 7만5000가구 넘어서… 10년 만에 최대

입력 2023-03-01 04:05
국토교통부의 ‘1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 1월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5359가구로 2012년 이후 10년2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사진은 28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지난 1월 전국 미분양 주택이 7만5000가구를 넘어섰다. 10년2개월 만의 최대 규모다. 건설업계에선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바라고 있지만 정부는 아직 개입할 상황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정부는 지난해 4분기 분양 물량이 늘어나면서 발생한 미분양이 이번에 포함된 만큼 시장의 가격 조정 기능에 따라 해소될 수 있는 문제라고 보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1월 전국 미분양 주택이 7만5359가구로 지난해 12월 6만8148가구 대비 10.6% 증가했다고 28일 밝혔다. 2012년 11월 7만6319가구를 기록한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이다. 다만 증가 폭은 다소 줄었다. 지난해 11~12월 전국 미분양 주택은 매달 1만 가구씩 늘었지만 지난 1월에는 7211가구 증가하는 데 그쳤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 미분양은 1만2257가구로 1181가구 늘었다. 지방은 6만3102가구로 6030가구 증가했다. 미분양 물량의 84%가 지방에 있는 것이다. 공사가 끝난 뒤에도 분양되지 못해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7546가구로 전월보다 28가구 증가했다. 수도권의 준공 후 미분양은 12가구 줄었고, 지방은 40가구 늘었다.

정부는 당장 개입할 수준은 아니라고 판단한다. 미분양이 늘어난 지역은 외곽이거나 분양가가 인근 시세보다 높았던 곳이 대부분이라는 이유에서다. 준공 후 미분양도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고 보고 있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악성 미분양 주택도 두 자릿수 늘어나는 데 불과하다”며 “선호도가 있는 주택은 미분양이 해소되고 있다. (미분양 주택 환매 요구는) 시대착오적”이라고 말했다.

세종=심희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