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한국판 ‘보스턴 클러스터’를 조성해 바이오헬스 기업 육성에 나선다. 향후 5년 안에 연 매출 1조원이 넘는 ‘블록버스터급 신약’도 2개 개발해 바이오헬스 6대 강국을 실현한다는 계획이다.
보건복지부는 28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범부처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 전략회의’에서 바이오헬스와 디지털 헬스케어 육성방안을 담은 5대 핵심과제를 윤석열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윤 대통령은 “바이오헬스 산업을 국가의 핵심전략 산업으로 육성하겠다.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키우겠다”며 “의료와 건강, 돌봄 서비스 등을 디지털 기반으로 전환해 세계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집중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다.
보스턴 클러스터는 화이자와 노바티스 등 세계적 제약·바이오 기업과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하버드대학 등 교육기관이 함께 포진한 바이오기업의 상징적 장소다. 윤 대통령은 직접 “한국판 보스턴 클러스터 조성을 적극 추진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복지부 관계자는 “전국적으로 18개 분절돼 있는 바이오 클러스터를 집약해 종합적으로 추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바이오헬스 산업 수출을 활성화하기 위해 연 매출 1조원이 넘는 블록버스터급 신약 개발에도 나선다. 정부는 5년 내 2개 신약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복지부 관계자는 “(국내 기업이) 바이오시밀러(복제약) 2기 사업을 거쳐 3기 신약개발사업을 통해 상당한 매출 규모로 성장했다”며 “현재 유력한 품목 5~6개에 집중하고 있어 한국도 블록버스터급 신약을 가진 국가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의약품 수출 규모 역시 지난해 82억 달러 규모에서 2027년에는 160억 달러까지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를 위해 2025년까지 조성키로 한 1조원의 K-바이오백신 펀드 성과를 토대로 추가 펀드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정보통신기술(ICT)을 기반으로 한 의료·건강·돌봄 서비스 혁신에도 속도를 내기로 했다. 특히 정부는 암 질환에 대한 임상 정보나 검진, 사망 등의 정보와 연계하는 임상데이터 네트워크인 ‘K-CURE’를 2025년까지 구축하고 축적한 빅데이터는 연구 등에 개방해 활용키로 했다.
다만 법 제정이 선행돼야 한다. 복지부는 이를 위해 ‘디지털헬스케어법’ 제정을 추진한다. 복지부 관계자는 “철저하게 개인정보보호법에 기반해 지정·허가된 기관에서만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도를 만들 것”이라며 “정보 유용 사태가 없도록 철저히 관리하면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김유나 차민주 문동성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