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체포동의안 투표 결과, 민주당에서 최소 31명의 반란표가 확인됐다. 이 대표는 ‘방탄’에는 성공했지만, 정치적 코너에 몰리게 됐다.
27일 국회 본회의에서 진행된 이 대표 체포동의안 표결에는 여야 의원 297명이 참여했다. 정당별로는 국민의힘 의원 114명, 민주당 의원 169명, 정의당 의원 6명, 무소속 의원 6명, 기본소득당·시대전환 의원 각각 1명이 무기명 표결에 참석했다.
표결 결과는 찬성 139표, 반대 138표, 무효 11표, 기권 9표로 집계됐다. 반대(138표)와 기권·무효(20표)가 전부 민주당 의원이라고 가정할 경우, 산술적으로 민주당 의원 가운데 최소 11명이 이 대표 체포동의안에 찬성했다는 계산이 나온다. 여기에다 기본소득당(1명), 민주당 성향의 무소속 의원(5명) 모두 반대표를 던졌다고 추정하면, 민주당 내에서 찬성표를 던졌을 최대치는 17명으로 분석된다.
표결에 참여한 민주당과 기본소득당, 민주당 성향 무소속 의원이 175명에 이른다는 점을 감안하면 최소 31명에서 최대 37명의 민주당 의원들이 체포동의안 반대가 아닌, 찬성 또는 무효·기권에 한 표를 던지면서 ‘이재명 방탄’에 반기를 든 것으로 볼 수 있다.
민주당 지도부는 이날 오전까지 ‘압도적 부결’을 강조했지만, 결과는 처참했다. 특히 지난해 12월 노웅래 민주당 의원 체포동의안 표결 당시 반대가 161표나 나왔던 것과 비교하면 훨씬 더 초라한 성적표다.
상당한 ‘반란 세력’이 확인되면서 이 대표는 정치적 위기에 놓이게 됐다. 향후 검찰이 이 대표에 대해 구속영장을 추가로 청구할 경우, 이 대표와 민주당 지도부가 체포동의안 반대 표결을 민주당 의원들에게 요청하기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벌써부터 나온다.
한 수도권 비명(비이재명)계 의원은 “민주당 의원들의 방탄에 대한 반감이 얼마나 큰지 숫자로 확인된 것”이라며 “검찰이 구속영장을 다시 청구하면 당내에서도 이 대표에게 영장실질심사(구속전 피의자심문)에 응하라는 요구가 상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상민 조응천 의원 등이 언급했던 ‘부결 후 당대표 사퇴론’이 힘을 받게 되면 이 대표에게 ‘정치적 결단’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커질 수 있다. 민주당 한 중진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당장 이 대표에게 대표직에서 물러나라고 요구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하지만 이 대표의 운신의 폭이 굉장히 좁아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친명(친이재명)계는 대표직 사퇴는 어림도 없다는 반응이다. 한 수도권 친명계 의원은 “이 대표가 민주당 당원 77%의 지지를 받고 있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며 “이재명이 물러나면 민주당의 지지 기반이 무너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외에는 대안이 없는 상황에서 무조건 사퇴를 요구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승욱 이동환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