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체포동의안이 27일 국회 본회의에서 가까스로 부결됐다.
민주당이 자신했던 ‘압도적 부결’은 물거품이 됐다. 예상보다 많은 ‘반란표’에 민주당의 단일대오가 무너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국민의힘은 ‘정치적 가결’이라고 주장했다.
국회는 이날 오후 본회의를 열고 이 대표 체포동의안을 무기명 표결에 부쳤다. 여야 의원 297명이 투표에 참여한 결과 찬성 139표, 반대 138표가 나왔다. 무효는 11표, 기권은 9표였다. 체포동의안은 재적의원 과반 출석에, 출석의원 과반 찬성으로 가결되기 때문에 체포동의안이 통과되기 위해선 149표 이상의 찬성이 필요했다.
민주당 의원 169명 전원이 투표에 참여했고, 반대가 138표였던 점을 고려하면 최소 31명은 찬성이나 무효·기권을 선택한 셈이다. 또 기본소득당 의원(1명)과 민주당 성향의 무소속 의원(5명) 모두가 반대표를 던졌다고 가정할 경우 민주당 내에서 최대 37명이 이탈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민주당 전체 의원 가운데 반대(138표)와 무효·기권(20표)을 빼면 최소 11명은 찬성표를 던졌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 대표는 본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검찰의 영장 청구가 매우 부당하다는 것을 국회에서 확인해주셨다”며 “당내와 조금 더 소통하고 많은 의견을 수렴해 윤석열 독재 정권에 강력히 맞서 싸우겠다”고 밝혔다.
압도적 부결을 자신했던 이 대표와 민주당 지도부는 표결 결과에 상당한 충격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당초 압도적 부결을 토대로 ‘민생 투어’와 ‘쌍특검’(50억 클럽 특검·김건희 특검)에 집중하겠다던 이 대표와 민주당의 계획도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특히 최소 31명의 ‘반란 세력’ 또는 ‘이탈 세력’이 확인된 만큼 당내에서 대표직 사퇴 요구가 수면 위로 급부상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한 수도권 비명(비이재명)계 의원은 “이 대표는 방탄에 성공했지만 민주당은 만신창이가 됐다”며 “이럴 바엔 이 대표가 떳떳하게 법원의 영장실질심사(구속전 피의자심문)를 받는 편이 나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이 대표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였다.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은 “이 대표의 방탄은 허물어졌다. 이 대표에 대한 정치적 사망선고가 내려진 것”이라고 말했다.
최승욱 정현수 이동환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