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지역 농민들이 정부의 신동진 벼 퇴출 방침에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신동진 재배 규모가 전체 쌀 재배 면적의 절반을 넘는 전북의 경우 큰 피해가 예상된다며 시기와 방법을 재논의하라로 촉구하고 있다.
23일 전북도와 농민단체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달 신동진과 새일미를 내년부터 공공비축미 매입 제한 품종에 추가하고 2025년부터는 정부 보급종 공급에서 중단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쌀 재고량 적정 유지와 품종 다양화, 생산 단수 정부기준 초과 등이 이유다. 신동진은 쌀알이 굵고 밥맛이 좋아 소비자가 뽑은 12대 브랜드 쌀에 가장 많이 뽑힐 정도로 인기가 높으나, 정부가 정한 상한선(10a당 570㎏)보다 수확량이 많아 퇴출 대상에 올랐다.
전북 농민단체들은 신동진은 전북 벼 재배면적(11만3775㏊)의 53%를 차지하는 대표 품종이라며 새로운 쌀에 대한 신뢰가 없는 상태에서 갑작스럽게 주력 품종을 바꾸라는 것은 잘못된 정책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전북농업인단체연합회는 “정부 방침에 농민들이 당혹을 넘어 분개하고 있다”며 “지금이라도 현장 농민들과 함께 벼 보급종 수매에 대한 시기와 방법을 재논의해 결정하라”고 촉구했다.
김제시의회 의원들과 김제시농업인단체협의회, 김제시농협조합장협의회 회원들도 지난 22일 정부 정책을 규탄했다. 농민들은 “15년 넘게 농민들이 시행착오를 거치며 최고 품질의 쌀을 생산해왔다”며 “이번 정부 정책으로 노력이 물거품이 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제시의회와 군산시의회는 잇따라 ‘신동진 벼 품종 매입 제한 및 보급종 중단 철회 촉구 건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김영자 김제시의회 의장은 “우수한 품질에도 불구하고 수확량이 많다는 이유만으로 신동진 벼를 매입 제한 품종으로 지정한 이유를 납득할 수 없다”고 말했다.
전북도 관계자는 “신동진 종자 공급을 전격 중단하면 농민들이 준비할 시간이 충분하지 않다”고 말했다. 전북도는 23일 농식품부를 방문, 농민들이 새 품종으로 전환하기 위한 준비를 위해 신동진벼의 퇴출을 3년 이상 유예해달라고 건의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