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5월 단체 2곳, 특전사 합동참배 후폭풍

입력 2023-02-23 04:03

특전사동지회와 손잡은 5·18부상자회, 공로자회 등 광주지역 2개 5월 단체가 거센 후폭풍에 직면했다.

이들은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이던 특전사동지회를 끌어안자는 명분을 내세웠지만, 지역사회의 공감이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다.

특전사동지회와 2개 5월 단체가 지난 19일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를 기습적으로 합동 참배하고 포용과 화해를 내세운 ‘대국민 선언’을 강행하자 광주지역 시민사회단체는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광주지역 110여개 시민사회단체는 23일 ‘오월정신지키기 범시도민 대책위원회’를 발족한다고 밝혔다. 대책위는 5·18부상자회, 공로자회 집행부에게 범시민 여론 수렴 없이 특전사를 초청해 행사를 강행한 데 대한 사과와 대국민선언 철회, 집행부 퇴진을 촉구한 뒤 이를 거부하면 모든 관계를 단절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또 5·18기념행사위원회와 협의해 오는 5월 제43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전야제 등에서 두 단체를 배제하기로 했다.

이번 특전사 초청 행사에 축사를 보낸 각급 기관장과 정치권 인사들의 해명과 사과도 촉구한다는 계획이다. 대책위에는 역대 5·18기념행사위원장과 기념재단 이사장 등 지역 원로가 대부분 참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책위는 고문단, 자문단, 대표단, 상임대표단, 공동실행위, 사무국 등 조직 체계를 갖춰 출범할 예정이다. 이철우 전 5·18기념재단 이사장 등 상임대표단을 꾸린다.

그동안 5·18 정신계승을 주도해온 5·18기념재단과 5월 상주 격인 5·18민주유공자유족회 역시 2개 5월 단체의 특전사 초청 행사가 “충분한 논의를 거치지 않았고 정당성을 확보하지 못했다”는데 동조하는 분위기다.

이들은 2개 5월 단체가 5·18의 가해자가 명백한데도 면죄부만 주게 되지 않을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진정한 사죄를 거부하는 계엄군 출신 인사들을 무작정 포용하는 건 온당하지 않다는 것이다.

전남대 민주동우회 입장은 더 강경하다. 황일봉 5·18부상자회장의 민주동우회 회원 자격을 박탈하고 제명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