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국 아파트 청약경쟁률이 8년 만의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전국 곳곳에서 미분양 단지가 속출한 급랭기인 셈이다. 하지만 부산은 평균 37대 1이 넘는 경쟁률을 기록하며 상대적 강세를 지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R114는 지난해 전국에서 분양한 아파트 일반공급분의 청약 1·2순위 평균 경쟁률이 7.6대 1로 집계됐다고 22일 밝혔다. 2014년 7.5대 1 이후 가장 저조한 실적이다. 한 자릿수 경쟁률을 보이기도 8년 만에 처음이다. 지난해 공급 물량은 22만7369가구로 2020년 22만3106가구와 비슷했다. 그런데 경쟁률은 2020년(27.9대 1)의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했다. 2016년 32만3263가구 이후 가장 많은 25만1054가구가 나온 2021년(19.8대 1)과 비교하더라도 크게 낮다.
전국 17개 광역시·도 가운데 대구(0.5대 1)와 울산(0.9대 1)이 미달을 보였다. 전북(1.8대 1)과 충남(2.8대 1)부터 경기(6.5대 1), 강원(8.3대 1)까지 8개 지역도 한 자릿수 경쟁률에 머물렀다. 이런 상황에서 부산(37.4대 1)과 세종(36.8대 1)은 30대 1을 크게 웃돌았다. 인천(14.5대 1), 대전(11대 1)이 그 뒤를 이었다. 서울(10.9대 1), 경남(10.8대 1), 경북(10.2대 1)은 10대 1 수준이었다.
부산은 지방에서 보기 드문 2000가구 이상 대단지와 신도시인 에코델타시티 공공택지 분양이 청약 수요층의 관심을 끈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9월 조정대상지역 해제도 한몫을 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부산도 2020년 61.9대 1에서 2021년 42.4대 1로 내린 데 이어 지난해까지 2년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세종은 2015년 17.6대 1 이후 가장 낮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