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은행권의 임금과 성과급이 크게 오를 전망이다. 과도한 성과급 논란이 확산되자 금융당국은 사실상 전 금융권의 성과급 체계 점검에 나섰다. 은행권의 ‘이자 장사’ 논란에서 시작된 불똥이 금융권 전체로 번지는 모습이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2022년 임금단체협상(임단협)을 통해 타결된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올해 임금 인상률과 성과급 지급 규모는 전년 대비 증가했다. KB국민은행(일반직), 신한은행(일반직), 하나은행, 농협은행, 우리은행 모두 임금 인상률이 지난해 2.4%에서 올해 3%로 높아졌다. 신한은행 리테일 서비스·사무직은 3.6%에서 4%로 올랐다.
성과급 지급률 역시 인상폭이 확대됐다. 신한은행은 2022년 임단협에서 경영성과급으로 기본급 361%(현금 300%·우리사주 61%)를 책정했다. 전년에는 기본급의 300%(현금 250%·우리사주 50%)를 지급했다. 국민은행은 기본급 280%와 특별격려금 340만원 지급에 합의했다. 1년 전에는 기본금의 300%를 지급했다. 농협은행과 하나은행의 지급률은 각각 기본급의 400%, 350%으로 모두 전년보다 50% 포인트 올랐다. 이번 임단협 결과에 따라 올해 성과급 지급 규모는 지난해(1조3823억원) 수준을 훌쩍 넘길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최근 은행권의 성과급 규모 등을 놓고 ‘돈 잔치’ 지적을 내놨다. 은행이 금리 상승기에 ‘이자 장사’로 역대급 실적을 얻었는데 사회 공헌보다는 성과급 잔치에만 급급했다는 비판이었다. 이와 관련해 금융위원회는 오는 23일 ‘은행권 경영·영업 관행·제도 개선 태스크포스(TF)’ 첫 회의를 열 예정이다. 성과급 등 은행 보수 체계의 적정성을 점검하고 금리 체계 개선 방안도 모색할 계획이다.
금융당국은 증권사와 보험사, 카드사의 성과급 체계 점검에도 나섰다. 일부 보험사와 카드사가 지난해 역대급 실적을 근거로 연봉의 30~50%를 성과급으로 책정한 데 따른 것이다. 이 정도 성과급 규모가 이익 대비 적정한 수준인지 살펴보겠다는 취지다.
실적 악화를 겪은 증권사들도 도마에 올랐다. 증권사들은 지난해 급격한 금리 인상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 확대로 유동성 위기를 겪었다. 이에 금융당국은 증권업계에 PF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매입 등 대규모 지원에 나섰다. 당국은 임원 성과급 운용 체계를 중점적으로 점검해 이 와중에 부적절한 성과급을 챙긴 임직원이 있는지 들여다볼 것으로 알려졌다.
임송수 기자 songst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