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외교장관이 18일(현지시간) 독일 뮌헨안보회의에서 만나 별도의 회담을 하고 양국 간 최대 현안인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 해법을 집중 논의했다. 양국 외교수장이 핵심 쟁점에 관한 사실상 마지막 이견 조율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강제징용 배상 문제는 전범 기업인 일본제철과 미쓰비시중공업이 피해자 배상을 위한 기금 마련에 기여할지와 일본 측이 피해자들에게 직접적으로 사죄를 할지가 현재 핵심 쟁점이다. 앞서 한·일 외교차관이 지난 13일 미국 워싱턴에서 2시간30분가량 회담을 했지만 인식차를 좁히지 못했다.
박진 외교부 장관과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은 뮌헨에서 35분간 진행한 회담에서 그동안 국장급과 차관급에서 이뤄진 협의 결과를 확인하고 남은 쟁점에 대해 서로의 입장을 표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 장관은 회담 후 기자들과 만나 “주요 쟁점에 대해 할 수 있는 얘기는 다 했다”면서 “일본 측에 성의 있는 호응을 위한 정치적 결단을 촉구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서로 입장은 이해했으니 이제 서로 정치적 결단만 필요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외교당국 선에서는 할 만큼 했고 정상급의 정무적 판단이 필요한 단계가 됐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특히 일본의 전향적인 태도 변화가 최종 합의로 갈 수 있을지를 결정할 중요 변수라는 점을 강조하며 공을 일본으로 넘긴 상황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취재진에게 “지금도 남아 있는 쟁점이란 것은 양국 국민의 관심도와 사안의 민감성 등을 고려할 때 양국에 중요하고 아주 민감한 쟁점”이라면서 “우리가 관심 갖는 사안에 대해 무게감 있게 이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일본 측에 촉구했다는 자체가 의미가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본 외무성은 19일 보도자료에서 “징용 문제를 포함해 한·일 관계 전반에 대해 솔직하게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다. 이어 “양국 외교장관은 한·일 관계를 건전하게 되돌리고, 현안의 조기 해결을 위해 외교 당국 간 다양한 레벨에서 긴밀하게 의사소통을 계속해 나간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전했다.
이번 장관 회담에선 한·일 정상회담 개최 문제는 거론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한·일 외교 당국은 회담 결과를 각자 본국에 보고한 뒤 입장을 다시 정리해 추가 협의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 정부가 피해자 측과 면담을 진행 중인 가운데 이르면 이달 내 최종 해법이 나올 수도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