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와 행정안전부의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입주가 최근 시작됐지만 중앙동에 ‘자율좌석제’를 도입하는 방안은 불발됐다. 일부 직급만 사용하는 등 업무 효율성이 되레 떨어질 수 있다는 의견이 제시된 탓이다.
행안부 정부청사관리본부는 지난해 7월 중앙동 이전 소식을 알리며 자율좌석제 도입을 예고했다. 사무실에 인원수만큼 고정좌석을 할당하는 게 아니라 자유롭게 근무 공간을 선택할 수 있게 하겠다는 것이었다. 출장이나 재택근무 등으로 청사 출근을 하지 않는 인원을 고려해 업무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려는 방안이었다. 중앙동 사무실 좌석의 15~20%는 자유석 도입을 고려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자율좌석제는 삼성이나 SK, LG 등 대기업 직원들에게는 익숙한 제도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유연근무제가 일상이 되면서 자율좌석제도 함께 자리 잡았다. 이는 유연한 조직 문화를 보여주는 지표로도 해석됐다.
그러나 중앙동의 자율좌석제 도입은 직원들 반대로 무산됐다. 중앙동에 입주하는 기재부와 행안부를 포함해 전 부처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약 6000명 중 40%만이 자율좌석제에 찬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율좌석제가 도입되면 과장은 과장끼리, 사무관은 사무관끼리 모여 앉아 소통의 벽이 오히려 높아질 수 있다고 우려하는 목소리가 컸다고 한다. 한 공무원은 19일 “간부급이 모여 앉는 자리는 ‘통합 보고실’이 될 수 있다. 자유석에 갈 때마다 긴장하는 사람들이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평소 서류 업무가 많기 때문에 자율좌석제 도입이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이라는 반응도 있었다. 다른 공무원은 “자율좌석제가 도입되려면 서류 보관이나 활용을 위한 공간도 충분히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재부는 다음 달 8일까지, 행안부는 이달 28일까지 중앙동 이사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세종=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