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세계박람회(EXPO·엑스포)’ 주최국을 결정하는 국제박람회기구(BIE) 실사단이 오는 4월 부산을 찾는다. 부산은 이미 열기로 뜨겁다. “첫 번째, 투자가 늘어나고 일자리가 창출된다. 두 번째, 국가 브랜드를 상승시킨다. 세 번째, 새로운 기반시설을 확충한다. 네 번째, 지역경제를 활성화한다. 다섯 번째, 엑스포 이후 건물과 시설이 유산으로 남는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지난 17일 부산 동구에서 대한상공회의소 기자단과 간담회를 가지면서 엑스포 개최로 무엇이 이득인지 소개했다. 이 답변은 챗GPT가 답한 것이라고 한다. 장인화 부산상공회의소 회장은 “부산시민의 유치 열기는 펄펄 끓어오른다는 말로 부족할 정도다. 열기가 전국적으로 확산하길 바란다”고 했다.
부산 시내 곳곳에선 유치 열망을 담은 광고판을 볼 수 있다. 조유장 2030엑스포추진본부장은 엑스포 개최부지 안에 자리한 북항홍보관 하늘공원에서 “해안에 위치한 도심 부지의 아름다움에 감탄하는 외국인이 많다”고 강조했다. 북항을 낀 땅(276만㎡)과 바다(67만㎡)는 광활하다. 부지 한편에는 부산오페라하우스가 모양을 갖춰가고 있었다.
부산은 ‘세계의 대전환, 더 나은 미래를 향한 항해’를 주제로 2030엑스포 유치전을 벌이고 있다. 기업들도 전방위로 지원 중이다. 지난해 6월부터 국내외에서 104개국의 관계자들과 263차례나 만났다. 박동민 대한상의 민간유치위원회 사무국장은 “정부, 경제계, 지방자치단체가 힘을 모아 촌음을 아끼며 실사를 준비 중”이라고 전했다.
실사를 앞둔 경쟁국은 사우디아라비아(리야드), 우크라이나(오데사), 이탈리아(밀라노) 3곳이다. 실사단 보고서는 171곳에 이르는 BIE 회원국에 회람된다. 오는 11월 있을 개최국 결정 투표의 기초자료다. 유치전 초기에 사우디아라비아가 유력한 개최국으로 꼽혔지만, 최근에 회원국 사이에서 ‘한국 지지세’가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정부와 기업들이 엑스포 유치에 사활을 거는 건 등록엑스포의 사회·문화·경제적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2030엑스포는 등록엑스포로 개최 기간이 길다. 5년 주기로 열리는 등록엑스포는 6개월간 열린다. 전시관도 참가국이 자비로 건설한다. 대전엑스포(1993년), 여수엑스포(2012년)는 인정엑스포였다. 부산시는 엑스포를 개최 시 내·외국인 3480만명 유입, 일자리 50만개 창출 효과가 있다고 추산한다. 박 시장은 “올림픽이나 월드컵의 경제 효과가 20여조원에 머무르는 반면 등록엑스포는 61조원을 기대한다”고 역설했다.
과거 프랑스 파리, 미국 샌프란시스코, 중국 상하이, 아랍에미리트 두바이는 엑스포 개최를 계기로 글로벌 허브 도시로 성장했다. 한국이 2030엑스포를 유치하면 세계 3대 행사(올림픽·월드컵·등록엑스포)를 모두 여는 7번째 국가에 이름을 올린다. 3개 행사를 모두 개최한 나라는 프랑스 미국 캐나다 일본 독일 이탈리아다.
부산=강주화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