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일부단체·특전사동지회 대국민선언… 시민단체 반발

입력 2023-02-20 04:05
광주 서구 쌍촌동 5·18기념문화센터 앞에서 19일 시민단체 회원들이 일부 5·18단체의 특전사동지회 초청에 반대하며 손팻말 등을 들고 행사장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행사장 입구에선 경찰이 이를 제지하고 있다. 연합뉴스

5·18부상자회, 공로자회 등 일부 5·18 단체와 특전사동지회가 19일 5·18 상주 격인 유족회와 시민사회단체의 잇단 반발 여론에도 ‘포용과 화해와 감사 대국민 공동선언식’ 행사를 강행했다. 이에 따라 그동안 행사를 반대해온 일부 5월 단체회원·시민단체가 주최 측 간의 몸싸움이 벌어졌다.

5·18부상자회와 공로자회, 특전사 동지회는 이날 오전 광주 서구 5·18기념문화센터에서 ‘포용과 화해와 감사 대국민 공동선언식’ 행사를 개최했다.

5·18 진상규명을 위한 상호협력과 계엄군과의 화해를 다짐한 이 행사에는 황일봉 부상자회장, 정성국 공로자회장, 최익봉 동지회 총재 등 300여명이 참석했다. 하지만 5·18 유족회와 지역 시민사회단체 등이 거센 반발 속에서 행사가 치러져 포용과 화해라는 당초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반쪽 행사’에 그쳤다.

일부 5월 단체 회원들은 공동선언식이 열리는 5·18 기념문화센터 앞에 드러누워 ‘계엄군은 물러가라’는 구호를 외쳤다.

황 회장과 최 총재 등은 공동선언문을 통해 “5·18은 대한민국 역사와 민주주의 변천 과정에서 커다란 의미와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계엄군으로 투입된 특전사 대원들은 엄정한 상명하복을 원칙으로 하는 군인 신분으로 명령에 따른 것이었다”고 전제한 뒤 “이들도 오랜 정신적·육체적 아픔을 겪어왔다는 점에서 가해자로만 볼 것이 아니라 피해자로도 바라보는 것이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행동강령을 통해 5·18 정신이 계승·발전되도록 협력하고 화해와 용서하는 마음을 구체적으로 실천하자고 다짐했다. 그러나 시민단체 회원들은 “진정한 사죄와 진상규명이 전제되지 않는 대국민 선언 행사는 면죄부를 주는 데 그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행사장 밖에서 주최 측 지지자 등과 거센 몸싸움을 벌였다. 하지만 행사장 내부에선 경찰과 용역업체 보호 속에 행사가 비교적 차분하게 마무리됐다.

앞서 이번 행사를 주최한 5·18 부상자회와 공로자회, 특전사동지회는 국립 5·18 민주묘지를 기습적으로 참배했다. 당초 5·18부상자회와 공로자회는 이날 오후로 예고한 일정을 앞당겨 오전 10시쯤 국립 5·18 민주묘지를 특전사동지회 집행부 25명과 함께 합동 참배했다.

오월어머니집 회원들은 이를 두고 ’도둑 참배’라며 강하게 비판을 이어갔다. 김형미 오월어머니집 관장은 “합동 참배한다고 해놓고는 변경 신고도 없이 몰래 참배를 하고 왔다. 떳떳하지 못하니 도둑참배를 한 것”이라고 밝혔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