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 3사가 나란히 국민 통신요금 부담 경감을 위한 조치를 내놨다. 다음 달에 사용할 수 있는 무료 데이터를 제공한다. 고물가 상황에서 통신요금 부담을 줄여야 한다는 윤석열 대통령의 질타가 있은 직후에 나온 방안이다. 하지만 물가 안정효과는 미지수라는 지적도 나온다.
이동통신 3사는 가계 통신비 경감을 위해 3월 한 달 동안 만 19세 이상의 가입자를 대상으로 데이터를 무료 제공한다고 15일 밝혔다. SK텔레콤과 KT는 30기가바이트(GB)를 준다. LG유플러스는 가입 요금제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량만큼 추가로 무료 데이터를 더한다. 이동통신 3사가 고객에게 대규모로 데이터를 일괄 제공하기는 처음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373만명이 수혜를 본다고 예측했다.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전체 휴대전화 가입회선(5020만명) 대비 67.1%에 이른다. 과기부는 월 6만1000원(데이터 30GB 제공)의 KT ‘LTE 요금제’ 가입자가 다음 달에 3만3000원(1.4GB 제공) 요금제로 갈아타면 약 2만8000원을 아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월 30GB의 데이터를 받는 가입자가 다음 달에만 1.4GB 데이터를 주는 요금제로 갈아탄다는 조건이다.
그러나 물가 안정효과가 크지 않다는 비판이 나온다. 대다수는 실제로 쓰는 데이터 양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주는 비싼 요금제에 가입해 있다. 비싼 요금제를 사용하는 가입자는 데이터 제공량이 충분해 추가로 무료 데이터를 주더라도 한 달 안에 쓰지 못할 수 있다. 각종 약정에 따른 위약금 때문에 한 달만 저가 요금제로 바꾸는 게 쉽지 않다. 추가 데이터를 받기 위해 직접 URL에 접속해 등록하는 절차를 거쳐야 하는 것도 아쉬운 점으로 꼽힌다. 수혜를 보는 국민은 대부분 중저가 요금제 가입자인데, 이들은 스마트폰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장년층일 수 있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