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훈부·재외동포청 신설 합의… 여가부 폐지 여부는 추가 논의

입력 2023-02-15 04:05
성일종(왼쪽) 국민의힘 정책위의장과 김성환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이 14일 국회에서 열린 여야 3+3 정책협의체에서 협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여야는 14일 국가보훈처를 국가보훈부로 승격하고, 외교부 산하에 재외동포청을 신설하는 내용의 정부조직 개편에 합의했다.

그러나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당시 공약사항이었던 여성가족부 폐지 문제는 여야의 이견이 좁혀지지 않아 협의를 이어갈 방침이다. 여야는 또 대통령과 공공기관장 임기를 일치시키는 문제와 항공우주청 신설 문제 등 다른 쟁점 사안에 대해서도 여야 원내대표가 계속 논의키로 했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의 원내대표·정책위의장·원내수석부대표로 구성된 ‘3+3 정책협의체’는 국회에서 회의를 갖고 이 같은 논의 결과를 발표했다.

성일종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국민의힘은 대선 공약이자 대국민 약속이었기에 (여가부) 폐지 방침에는 변함이 없는데, 민주당은 이 부분에 대해 동의를 안 했다”면서 “이 부분은 향후 항공우주청 신설과 함께 원내대표들 간 협의사항으로 넘기는 것으로 마무리했다”고 설명했다. 성 정책위의장은 이어 “보훈처를 보훈부로 격상해서 보훈 가족들에게 예우·지원을 하는 게 좋겠다는 데 양당 간 이의가 없었다”며 “750만에 이르는 (재외동포) 국민의 편의를 위해 재외동포청을 신설하는 데도 큰 이의가 없었다”고 밝혔다.

박홍근 민주당 원내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국가보훈부 승격, 재외동포청 신설을 3+3(협의체) 차원에서 우선적인 합의 성과로 남겼다”고 말했다. 여야는 이날 합의한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16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결하고, 24일 본회의에서 처리할 계획이다.

여야는 또 제주도에 있는 재외동포재단이 재외동포청 신설로 폐지되는 것과 관련해 재외동포재단 규모에 상응하는 공공기관을 제주도에 이전 또는 추가 설립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데 협력하기로 했다.

그러나 여야는 대통령과 공공기관장 임기를 일치시키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공운법)’ 개정안에 대해선 합의를 이뤄내지 못했다. 김성환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공운법상 산하기관 문제와 그 외 각각 개별 법률로 임기가 정해진 것에 대한 의견이 합의되지 않아 (여야) 원내대표 간 협의키로 했다”고 말했다.

이동환 기자 hu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