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50년 국제해운 분야 탄소 배출 0’ 선언

입력 2023-02-15 04:04

정부가 2050년까지 국제해운 분야 탄소 배출량 ‘0’를 추진한다. 국제해운 분야에서 ‘탈탄소’를 선언한 것은 아시아 국가 중 한국이 최초다.

해양수산부는 2050년까지 국제 규제 대상인 규모 5000t 이상 외항선 867척의 친환경 연료 선박 전환을 추진하겠다고 14일 밝혔다. 해수부는 해당 선박 중 벙커씨유 등 탄소 배출 연료를 쓰는 선박은 개조하거나 신규 건조선으로 대체할 계획이다. 탄소 배출이 없는 e메탄올, 액화천연가스(LNG) 연료 선박만 운항하겠다는 것이다. 우선 2030년까지 유럽·미주 구간을 운항하는 정기선 중 60%가량을 전환하기로 했다.

정부는 친환경 선박 개조·교체 자금 지원을 위해 해양진흥공사·산업은행 등을 통해 최대 4조5000억원 규모 공공기금을 조성키로 했다. 대출 자금에 대한 금리인하 혜택도 부여할 계획이다. 중소 해운선사를 위해서는 1조원 규모 경영 안정화 펀드를 신설해 지원할 예정이다. 해수부는 2050년 목표 달성에 민·관 자금 71조원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번 조치는 국제해사기구(IMO)가 탄소배출 규제를 강화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감안해 마련됐다. IMO는 2050년 국제해운 탄소배출 감축 목표를 기존 50%에서 100%로 상향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렇게 될 경우 탄소를 배출하는 선박은 운행할 때마다 일종의 ‘탄소세’를 물어야 한다. 물류비가 늘어나지 않도록 하려면 친환경 선박 교체가 불가피한 것이다.

친환경 선박 교체와 관련한 산업 유발 효과도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해수부는 조선·기자재 등 산업 생산유발 효과가 2050년까지 최대 158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