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복지위기가구 발굴을 위해 구축한 지역 특화형 시스템으로 도움이 필요한 위기가구를 찾아내고 있다.
대구시는 ‘위기가구 종합지원 대책’에 따라 공공요금(전기·가스·수도) 2개월 이상 중복 연체 가구 중 위기 의심가구 3050가구를 1차 조사해 963가구에 대해 복지서비스를 지원했다고 12일 밝혔다.
시는 지난해 9월 위기가구 종합지원 대책을 발표하고 한국전력 대구본부, 대성에너지, 상수도사업본부와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 기관들로부터 지난해 11월부터 지난달까지 3차례에 걸쳐 2개월 이상 공공요금이 연체된 14만2478가구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았다.
제공받은 자료를 빅데이터과에서 분석해 위기 의심가구 7238가구를 선별했으며 이중 1차로 3050가구에 대한 조사를 벌여 963가구를 찾아냈다. 나머지 4188가구에 대한 조사도 진행 중이다.
위기 의심 963가구에게는 기초생활수급자 책정(100가구), 긴급복지지원(74가구), 법정차상위책정(18가구), 희망가족돌봄급여 등 기타공공급여(188가구), 민간서비스지원(583가구) 등을 연결했다.
대구시는 지난해 지역 공공서비스 제공 기관들과 업무협약을 체결해 전국 최초로 위기정보를 활용한 복지위기가구 발굴시스템을 구축했다. 시는 보건복지부보다 2~5개월 더 빨리 위기 의심가구를 발굴할 수 있는 체계라고 설명했다. 정의관 시 복지국장은 “복지위기가구 지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신속하게 위기 의심가구를 찾아내는 것”이라며 “시가 신속 발굴체계를 구축한 만큼 더 많은 위기가구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