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바이오산업 패러다임 전환과 미래 이슈에 대응하고 미래 먹거리 산업 선점을 위해 세포배양기술 특화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경북도는 7일 도청에서 포항·경산·구미시, 의성군, 영남대·포스텍, 한국식품연구원, 일동후디스 등 28개 산·학·연·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세포배양산업 육성 전략을 발표했다.
세포배양은 ‘동물 생체로부터 분리한 세포를 증식 및 분화시키는 데 필요한 바이오산업의 핵심 기술’로써 크게 원부자재와 장비로 분류된다. 주로 기초연구를 비롯해 바이오의약품(백신, 단백질·면역·유전자·줄기세포 치료제 등)과 식품·화장품 스크리닝 등에 활용되고 최근엔 동물세포 배양식품으로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국내시장은 원부자재 90% 이상을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고, 장비도 국산화율이 16.5%에 불과할 정도로 해외 의존도가 높다.
경북도는 지금까지 의성을 중심으로 추진해 온 세포배양 산업을 경산, 포항, 구미 등으로 확대 연계 시키고 4개 시군의 산업적 특성과 강점을 최대한 살려 세포배양 클러스터로 조성해 시너지를 높인다는 전략이다.
의성은 세포배양 산업화 단지로, 경산은 핵심 소재인 배지(원료, 포뮬러, 첨가물 등)와 장비·공정 등에 대한 기초·원천 연구를 수행하는 국제세포배양 연구센터를 구축한다. 구미는 신공항 배후도시로서 한국식품연구원 경북분원 설립과 연계해 배양식품 등 미래 식품 산업화 연구거점으로 육성한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대학·연구소의 기술을 바탕으로 관련 산업을 선도하고 대학과 마이스터고는 필요한 인력을 공급해 지역의 새로운 수입창출원으로 적극 육성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