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지난 주말 대규모 장외집회를 개최하며 윤석열정부와의 전면전에 돌입했다. 민주당이 당 차원의 장외투쟁에 나선 것은 2016년 말 ‘박근혜 대통령 퇴진촉구운동’ 이후 6년여 만이다.
민주당은 지난 4일 오후 서울 숭례문 인근에서 ‘민생파탄 검사독재 규탄대회’를 열었다. 이재명 대표와 박홍근 원내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가 총출동했고 현역 의원 100여명이 참석했다. 당 지도부가 전국에 사실상 ‘동원령’을 내려 경찰 추산 2만여명(민주당 추산 30만명)이 운집했다.
이 대표는 연단에 올라 “윤석열 검사독재 정권에 경고한다”며 20분간 열변을 토했다. 그는 “이재명은 짓밟아도 민생을 짓밟지는 말라”면서 “상대를 죽이려는 정치 보복에 국가 역량을 낭비하는 바람에 대한민국 민주주의가 추락했다. 국민의 처절한 심판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민주당은 윤석열정부 들어 처음 펼친 장외투쟁이 성공적이었다고 자평하며 한껏 고무된 분위기다. 한 친명(친이재명)계 의원은 5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민심을 실제로 확인한 자리였다”며 “윤석열 정권이 국정운영을 너무 못해 장외투쟁에 대한 역풍은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 같다”고 자신했다.
민주당은 추가 장외집회 계획은 없다고 밝혔지만 지도부 의원들 사이에선 앞으로도 장외투쟁을 계속할 수밖에 없다는 인식이 읽힌다. 한 의원은 “당장 예고된 추가 집회는 없지만 당연히 계속하지 않겠느냐”면서 “봄이 되면 참석자도 훨씬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 퇴진 요구 집회를 이어가고 있는 시민단체와의 연계도 조만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지도부 핵심 관계자는 “검찰 수사가 최고조에 이르는 3~4월쯤에는 자연스럽게 시민사회 세력과 힘을 합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다만 이 대표 수사를 고리로 한 장외투쟁에 대한 당내 우려와 반발도 적지 않다. 한 비명(비이재명)계 중진 의원은 “장외집회에선 뻔한 사람이 모여 뻔한 얘기를 할 텐데, 이러다 보면 총선을 앞두고 중도층 민심과는 완전히 멀어지게 될 것”이라며 “이런 장외집회는 더 이상 열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민주당은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에 대한 탄핵안 발의 여부를 6일 오전 결정할 방침이다. 원내 핵심 관계자는 “5일 밤까지 당내 의견을 수렴하고 6일 최고위원회의와 의원총회를 거쳐 당론을 확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승욱 안규영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