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오피스텔 매매거래가 지난해에 30% 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어 투자에 용이한 초소형 면적의 거래만 늘었다.
부동산R114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국 오피스텔 매매 거래건수가 4만1176건으로 조사됐다고 2일 밝혔다. 2021년 6만2284건과 비교해 약 34%인 2만1108건 줄었다. 전용면적 구간별로 85㎡ 초과 오피스텔 거래건수는 2021년 2504건에서 지난해 543건으로 모든 면적 중 가장 큰 폭인 78%나 감소했다. 이어 60㎡ 초과~85㎡ 이하와 40㎡ 초과~60㎡ 이하가 각각 54%, 45% 줄었다. 20㎡ 초과~40㎡ 이하는 27% 감소했다. 면적이 큰 오피스텔일수록 거래가 큰 폭으로 떨어진 것이다. 모든 면적 구간 가운데 20㎡ 이하만 같은 기간에 12% 늘었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지난해 오피스텔 시장이 위축된 상황에서도 초소형 매매 거래는 꾸준했던 것으로 조사됐다”며 “통상 면적이 작을수록 매매가격 부담이 낮고 수익률이 높아 투자가 용이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지난해 전국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0.38% 오르는 데 그치며 2021년 상승폭 5.17% 대비 4.79% 포인트 둔화했다. 전체 면적 구간 중 20㎡ 이하의 가격만 같은 기간 0.05%에서 0.20%로 소폭 상승했다. 85㎡ 초과 면적의 가격 상승폭이 2021년 10.84%에서 지난해 0.53%로 두 자릿수(10.31% 포인트)나 빠졌다. 2021년 6.73% 올랐던 60㎡ 초과~85㎡ 이하 가격은 지난해 0.41% 하락했다. 이 면적 구간 가격이 하락 전환하기는 2013년(-0.26%) 이후 처음이다. 여 연구원은 “초소형 오피스텔의 단위면적당 가격 수준은 타 면적에 비해 높은 편이기 때문에 시장 회복 후에도 상대적으로 시세 차익 발생 가능성이 낮을 것”이라며 “투자 시에는 공실 없는 임대 수익률에 초점을 맞추고 임차수요가 많은 역세권, 직주근접 오피스텔 매수를 고려하는 편이 좋다”고 조언했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