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연구원(연구원) 재분리를 둘러싼 찬반 양론이 거세다. 지역갈등의 새 불씨가 될 공산이 커지고 있다.
나주시의회는 2일 임시회에서 연구원 재분리에 반대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시의회는 결의안에서 “지자체 간 초광역적 협력, 상생과 통합 등을 통해 지방 살리기에 나서야 할 특단의 조치가 필요한 상황에서 연구원은 분리가 아닌 지원을 통해 규모와 위상을 확대하고 광주전남의 미래 청사진을 내놓는 연구기관으로 키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윤병태 나주시장은 광주시의회·전남도의회에서 불거진 연구원 재분리 논쟁에 대해 “시·도민의 위대한 합의 정신을 후퇴시키는 소모적 논쟁은 지역 갈등과 사회적 혼란만 부추길 뿐 지역민에게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전남도의회 이재태 의원도 전날 제368회 전남도의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광주·전남은 공동운명체로 소통하고 협치해 상생해야 한다”며 “기능·역할에 문제가 있다면 혁신안을 마련하고 인력·예산을 늘려 경쟁력을 강화하면 된다”고 재분리에 반대했다.
하지만 연구원이 위치한 나주지역 정치인, 광주 시민단체와 달리 상당수 전남도의원은 여전히 연구원 분리 운영에 무게를 싣고 있다. 전경선 전남도의회 부의장과 신민호 기획행정위원장, 박종원 예결위원장 등은 연구원 재분리를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며 여론 확산에 나서고 있다. 이들은 도시행정을 주로 하는 광주시와 농어촌 중심인 전남도의 지역 특성에 맞는 공동연구 수행이 쉽지 않다며 분리론을 펴왔다.
연구원의 재분리 문제는 지난해 10월 강기정 광주시장이 시의회에서 “분리를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발언한 것을 계기로 촉발됐다. 이는 연구원이 광주 군공항 이전과 나주혁신도시 공동발전기금 운용 등 공동 현안에 시·도 양쪽 눈치를 살피느라 제 역할을 못한다는 인식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재분리 논의가 불붙자 연구원은 다음 달 24일 3년의 임기가 끝나는 박재영 원장의 후임 공모절차를 중단한 상태다. 연구원 재분리는 19명으로 구성된 이사회에서 3분의 2 이상 찬성으로 의결한 후 시·도의회가 관련 조례를 개정하는 절차를 밟으면 된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