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UAE(아랍에미리트)의 ‘300억달러(약 37조원) 투자’ 약속을 실제 투자·성과로 이어가기 위해 후속 조치에 박차를 가한다.
정부는 31일 서울 무역협회에서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UAE 투자유치 후속 조치 점검회의’를 열고 한-UAE 투자·금융 분야 협력 후속 조치 계획을 논의했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4~21일 UAE 국빈 방문 때 UAE로부터 300억 달러 투자를 약속받았고, 61억 달러 규모의 양해각서(MOU)도 체결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정부는 순방 성과의 즉각적인 후속 조치와 함께 기업들이 경제 전쟁에서 힘껏 뛰고 경쟁할 수 있도록 우리 제도의 ‘글로벌 스탠더드’로의 전환을 탄탄히 준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일단 정부는 UAE의 투자가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민관이 한 팀을 이루는 ‘한-UAE 투자 협력 플랫폼’을 구축·운영한다. UAE의 고위급 및 실무급 관계자들과 상시대화 채널도 개설한다. 정부는 2월 중 투자협력 위원회와 투자협력 네트워크를 열고 한-UAE 투자 협력에 관한 전반적인 운용계획과 전략 등 구체적인 논의를 시작할 예정이다.
기재부는 “올해 상반기 중 추 부총리가 UAE 국부펀드 CEO와 만나 세부 투자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며 “하반기에는 아부다비 현지에서 UAE 국부펀드 등을 대상으로 투자설명회(IR)를 개최하는 방안도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계약이 성사된 2건(국제공동비축·방산)은 이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협의 채널을 통해 애로 해소를 돕는 한편, 기업 등 주도로 확보된 30건의 MOU 등은 4가지 유형으로 프로젝트별로 그룹화해 단계별 맞춤형으로 지원해나간다. UAE 진출에 관심이 있는 기업·기관·부처가 원팀으로 UAE를 방문하기 위한 ‘셔틀 경제협력단’도 꾸린다.
한편 한국전력은 이날 튀르키예에 원전 사업 예비제안서를 제출하면서, 신규 원전 수출을 위한 본격 협의가 시작됐다고 밝혔다. 한전이 UAE 바라카 원전에 이어 해외 제2원전 수주에 본격 시동을 건 것으로 분석된다.
세종=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