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전과정평가(LCA·Life Cycle Assessment)’ 체계를 구축하고 제3자 검증을 완료했다고 30일 밝혔다. 기후위기 극복에 동참하고 2050년 탄소중립(넷제로)을 달성하기 위해서다. 전과정평가(LCA)는 원자재 수급부터 제품의 생산, 사용, 폐기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등을 수치화해 환경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사업 과정별 탄소배출량, 흡수량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삼성전자에서 구축한 전과정평가는 반도체 원료 수급 단계부터 패키징, 테스트 등 제품 생산 과정까지 발생하는 탄소배출량 등을 산출한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말 국제표준에 따라 전과정평가 체계를 완성했다. 글로벌 에너지·환경 전문 인증 기관인 ‘DNV’의 검증도 마쳤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한국 미국 중국에 위치한 글로벌 반도체 생산·패키징 라인에서 만드는 전체 제품을 대상으로 전과정평가를 운영할 방침이다. 반도체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탄소배출뿐만 아니라 물, 자원 등으로 확대해 종합 관리체계도 수립할 계획이다. 앞서 삼성전자는 2050년까지 순 배출량을 ‘0(제로)’로 낮추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국내외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전력은 2050년까지 모두 재생에너지로 전환할 예정이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