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은 최근 부동산 급락세에 대해 “부동산 가격은 어떻게든 잡아야 하고 낮을수록 좋다”며 “문재인정부 초기 수준으로 되돌아가야 한다”고 밝혔다.
다음 달 2일 면담을 앞둔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를 두고는 “사회적 약자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지하철 운행이 지연돼 예측 불가의 손해를 보는 시민들이 사회적 약자”라며 강경 입장을 재확인했다.
오 시장은 30일 서울시 청사에서 가진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기본적으로 우리나라의 주거 비용이 국제 기준으로도 지나치게 높다”며 “이는 높은 부동산 가격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부동산 가격이 높으면 자산 격차가 커지고 생활비 중 전·월세 비중이 높아지며 양극화 해소에 가장 큰 걸림돌이 된다”며 “다만 경착륙 시 경제운영 기조에 주름살이 질 수 있어 안정적 하향 추세를 지속해 문재인정부 초기 정도까지는 되돌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재개발·재건축 신속통합기획과 각종 도시정비 사업을 가속하는 한편 저소득층에는 토지임대부 주택 등 차별화된 상품을 제공해 양극화를 해소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전장연 면담을 묻는 질문에는 “장애인이 약자인 건 분명하지만 더 이상 (시민이 손해를 보는) 지하철 지연을 수반하는 형태의 시위는 용인할 수 없다”고 밝혔다.
오 시장은 “전장연이 장애인 권리 예산으로 초점을 바꿨지만 그 중 찬반양론이 있는 탈시설 예산이 70~80%를 차지한다”며 “서울시는 지난 10년 정도 탈시설 예산을 충분히 반영했음에도 정부가 해야 할 탈시설 증액 예산을 서울시 지하철을 세우는 형태로 요구하는 게 더 이상 용인돼서 되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지하철 시위로 발생한 손해액은 반드시 소송으로 배상받겠다. 면담은 이 점을 분명히 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중교통 요금 인상 추진으로 서민 경제가 타격을 입을 것이란 지적에는 “기획재정부가 입장을 바꿔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오 시장은 “지하철 요금을 300~400원 정도 올린다 하더라도 운송 원가에는 턱없이 못 미치는 실정이다. 고육지책”이라며 “지난 연말 여야가 거의 합의했음에도 기재부가 지하철 무임수송 손실보전(PSO)을 끝까지 반대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공공요금 인상으로 정부 경제 운영 기조에 무리가 생긴다고 판단한다면 지금이라도 기재부가 생각을 바꿔 올 연말부터라도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사회적 문제가 된 ‘난방비 폭탄’에 대해선 “지방자치단체보다 정부 차원의 중장기적 고민이 있어야 할 것”이라며 “전 정권 때 잘못한 건 차치하더라도 신정부에서 새로운 입장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3·8 전당대회를 앞두고 나경원 전 의원에겐 불출마를 권유했다고 밝혔다. 오 시장은 “나 전 의원과 만나 신중론을 펼쳤다”며 “상황이 이렇게 된 이상 이번에는 좀 쉬는 게 어떠냐고 건의했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나 전 의원과 통화했는데 ‘말씀해주신 대로 했다’는 취지의 말을 하더라”라며 “현명하게 잘 결정했다는 말씀을 드렸다”고 소개했다.
최근 TBS에서 하차한 김어준씨에 대해선 “국민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영방송을 장난감 가지고 놀듯 다루면서 특정 정당, 그 중에 특정 정파의 논리를 전파하는 데 전파를 쓰시느라 애 많이 쓰셨다”고 비판했다.
강준구 김이현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