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립준비청년 정착금 1500만원·月수당 40만원으로 올린다

입력 2023-01-30 04:05

서울시가 1500여명 자립준비청년의 자립수당과 자립정착금을 인상하는 등 올해 취약계층 지원사업에 3105억원을 투입한다고 29일 밝혔다.

자립준비청년의 경우 자립수당이 월 35만원에서 40만원으로, 자립정착금은 1000만원에서 1500만원으로 각각 인상된다. 이들의 주거 지원을 위해 서울주택도시공사(SH) 매입형 임대주택도 확대할 예정이다. 시는 이들의 자립준비 상황 점검 및 생활 실태 파악을 위해 자립지원 전담인력을 16명에서 24명으로 확대했다. 종합심리검사 대상도 기존 18세 이상에서 예비자립준비청년 단계인 15세 이상으로 확대해 우울증 등 고위험군 조기 치료에 나선다. 양육 및 임시보호시설, 보호치료시설 등 복지시설에서 생활하는 1850여명의 아동에게 매달 지원하는 용돈은 전년 대비 배로 늘렸다. 지원액은 초등학생 월 3만원, 중학생 월 5만원, 고등학생 월 6만원이다.

아동 1인당 연 최대 15회(회당 10만원) 심리 정서치료를 지원한다.

결식우려 아동은 지난해 급식비를 7000원에서 8000원으로 올린 데 이어 올해는 지원 대상을 차차상위계층(중위 50%→중위 60% 이하)까지 확대했다. 자치구에서 지원 대상을 발굴하도록 독려하고 주민센터에서 긴급복지 등을 접수할 때 아동 급식 지원 대상 여부를 확인하도록 해 사각지대를 줄여나갈 방침이다. 급식 품질을 높이기 위해 배달 도시락 품질관리를 위한 ‘어머니 모니터링단’도 운영한다.

이와 함께 아동학대 피해를 조기 발굴하기 위해 전수조사 대상을 기존 만3세에서 0~만3세로 확대했다. 단전, 장기결석, 아동수당 미신청 등 사회보장 빅데이터 44종을 이용해 위기 징후도 선제 파악한다. 피해아동 쉼터 등 지원 인프라도 18곳에서 26곳으로 늘린다. 유기아동 입양 활성화를 위한 태스크포스(TF)도 가동할 예정이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최근 생활물가 상승 등으로 취약 아동·가족의 고통이 커지는 상황”이라며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맞춤형 지원을 강화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