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오영훈 지사의 핵심 공약인 제주형 행정체제 도입 추진을 본격화한다.
제주도는 12월 20일까지 제주형 행정체제 도입 등을 위한 공론화 연구용역을 실시한다고 19일 밝혔다. 사업비 15억원을 투입하는 이번 용역은 고도의 자치권과 주민자치의 조화를 위한 제주형 행정체제 모델을 찾기 위해 이뤄진다.
도는 다음 달 착수보고회를 시작으로 4월까지 특별자치도 성과 분석과 도민 인식조사를 실시할 방침이다. 도민참여단을 구성해 제주형 행정체제 도입에 대한 토론도 진행할 예정이다.
행정체제 모형안과 구역 설정안은 8월까지 마련하고, 늦어도 11월까지 도입안에 대한 최종 여론조사를 실시한다. 이후 도민참여단 의견 수렴을 거쳐 주민투표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제주도는 2006년 7월 1일 특별자치도로 출범하면서 기존 제주시, 서귀포시, 북제주군, 남제주군 등 1도 4개 시·군 체제를 1도·2행정시 체제로 개편했다.
조상범 제주도 특별자치행정국장은 “특별도 출범 후 도지사 권한 집중과 행정시의 권한 약화, 풀뿌리 민주주의 퇴행 등의 문제점이 부각돼 행정체제 개편 요구가 지속됐다”며 “제주형 행정체제 도입을 위한 공론화 연구용역이 차질없이 추진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