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와 제주4·3평화재단은 4·3사건 당시 도외 형무소로 끌려간 뒤 소식이 끊겨 행방불명자로 분류된 이들의 신원 확인을 위해 유전자 감식 작업을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
첫 대상지는 대전 골령골이다. 대전형무소에 수감돼 있다 6·25전쟁 발발 직후 학살된 재소자 7000여명이 묻힌 곳이다. 지난해까지 1361구의 유해가 발굴됐다. 당시 대전형무소에는 제주도민 298명이 수감돼 있던 것으로 추정된다.
도는 국비 14억7000만원을 확보, 발굴 유해 200구에 대한 유전자 채취 작업을 우선 진행한다. 신원이 확인되면 행정안전부와 유해 인계 등의 협의를 거쳐 유가족 품으로 돌려보낼 계획이다.
4·3 희생자 신원 확인 작업은 그간 제주 지역에서만 이뤄졌다. 도외 행불자에 대한 유전자 감식은 이번이 처음이다. 4·3 당시 제주도민이 이감된 전국 형무소는 모두 11곳이다. 도는 이 가운데 암매장 추정 구역에서의 발굴작업이 가능한 대구·청주·김천형무소에 대해서도 같은 작업을 진행해 나갈 방침이다. 조상범 제주도 특별자치행정국장은 “대전형무소 수감자 명단을 근거로 4·3희생자 298명이 집단 학살된 후 대전 골령골에 묻힌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이번 작업 결과에 거는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