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대장동 사건과 관련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게 설 연휴 이후인 27일쯤 소환을 통보했다. 대장동·위례신도시 개발업자들이 수천억원대의 수익을 챙기는 과정을 이 대표가 알고 있었는지, 여기에 관여했는지, 구속된 정진상 전 민주당 대표실 정무조정실장과 김용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이 대장동 일당으로부터 뇌물과 선거 자금 등을 받은 과정을 알고 있었는지 등이 핵심 쟁점이다.
대장동 사건 수사가 시작된 것은 재작년 9월이었다. 문재인정부 때는 ‘봐주기 수사’ 논란이 일었고, 윤석열정부 때는 ‘정치보복 수사’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지난 대선 당시 이 대표를 둘러싼 가장 큰 의혹이 대장동 사건이었고, 이는 대선 결과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대장동 수사가 두 정권에 걸쳐 계속되면서 국민의 피로감은 커졌다. 이 대표가 검찰 수사를 야당 탄압으로 규정하면서 정치적 분열과 진영 갈등이 극심해진 것도 사실이다.
검찰이 소환을 통보한 것은 대장동 사건에 대한 이 대표 수사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의미다. 검찰은 지난주 성남FC 불법 후원금 의혹과 관련해 이 대표를 소환 조사했다. 쌍방울그룹 변호사비 대납 의혹도 김성태 전 회장이 귀국하면 수사를 오래 끌 이유가 없다. 재판거래 의혹이나 언론인 로비 의혹 등 대장동과 관련해 여전히 밝혀져야 할 부분들이 많이 남아 있다. 하지만 최소한 대장동과 불법 후원금 수사는 신속하게 정리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 수사를 둘러싼 국론 분열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대표도 성실하게 검찰 수사에 임해야 한다. 이 대표는 성남FC 사건으로 성남지청에 출석하면서 수십명의 민주당 의원과 수백명의 지지자들을 동원해 세 과시를 했다. 그러나 이런 행동은 자신의 문제를 과도하게 정쟁화한다는 비판을 불러일으켰다. 검찰 소환을 거부하거나 수사를 무조건 탄압으로 매도해서는 국민의 지지를 얻기 힘들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