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사진) 서울시장이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과 만났다. 추모공간 마련 논의도 조만간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오 시장이 11일 오후 5시15분쯤 오신환 정무부시장과 함께 서울 용산구 이태원광장에 마련된 시민분향소를 찾아 조문하고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의 이종철 대표와 이정민 부대표를 만나 면담했다고 12일 밝혔다. 면담은 10분가량 진행됐다.
면담에서 추모공간과 관련한 구체적인 논의는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오 시장은 유가족들이 정부에 필요한 부분을 직접 요청할 수 있도록 행정안전부 관계자를 소개해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추모공간에 대한 협의도 조만간 시작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 관계자는 “오 시장이 국정조사에서 유가족을 찾겠다고 한 약속을 우선 지킨 것”이라며 “서울시 정무부시장 등이 유가족과 꾸준히 소통해 왔지만 역할에 한계가 있었고, 추모공간 마련 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려면 중앙정부와 공식적인 소통 창구를 열어야 할 필요성이 있어 추모를 겸해 간 것”이라고 말했다.
본격적으로 논의가 시작되면 추모공간의 구체적 위치 등을 두고 이견이 있을 가능성도 있다. 앞서 서울시는 추모공간 후보군으로 민간건물 3곳 정도를 유가족에게 제안했다. 반면 유가족은 공공장소 등 상대적으로 많은 시민이 찾을 수 있는 곳을 입지로 원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청 특별수사본부는 참사 73일 만인 13일 최종 수사결과를 발표한다. 참사 발생 원인과 책임 소재를 설명할 것으로 보인다. 특수본은 그동안 국립과학수사연구원으로부터 3D 시뮬레이션 결과를 받아 전문가들과 함께 대형 압사 사고가 일어난 직접적인 원인을 분석해 왔다. 또 경찰과 소방, 구청 등 공무원들을 대상으로도 사전 대비와 사후 대응이 적절했는지를 수사했다.
경찰청은 ‘셀프 수사’ 비판이 제기되자 독립성이 보장된 특수본을 가동했지만, 결국 ‘윗선’ 책임 규명은 부실했다는 비판 속에 수사를 마무리하게 됐다. 사건 바통을 넘겨받은 검찰은 곧바로 동시다발적인 압수수색에 나서는 등 보강 수사에 들어간 상태다.
김이현 김판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