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시대 나전함이 미국에서 돌아왔다.
국립중앙박물관은 ‘국립중앙박물관회 젊은친구들(YFM)’이 미국의 한 경매에서 구입한 뒤 박물관에 기증한 나전함을 11일 공개했다. 나전은 나무로 짠 가구나 기물 위에 무늬가 아름다운 전복이나 조개껍데기를 갈아 문양을 만들어 붙이는 기법이다.
기증받은 나전함은 가로 46㎝, 세로 31㎝ 크기의 상자다. 평소 귀중품이나 문방구 등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상자 전체를 장식한 다양한 문양도 돋보인다. 여러 모양의 연꽃은 나전 장식이 더해져 보는 각도에 따라 오묘한 빛을 낸다.
이 나전함은 휘어져 있는 상태의 자개를 무늬대로 오려낸 후 망치로 때려 표면에 닿게 하는 타찰법(打擦法) 등을 사용한 점으로 미뤄 16세기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나전함과 비슷한 유물이 많지 않다는 점에서도 문화재적 가치가 크다. 박물관에 따르면 기증품과 매우 유사한 조선시대 나전함은 기존에 박물관이 소장한 1점, 일본 도쿄국립박물관의 소장품이자 일본 중요문화재로 지정된 1점 등을 포함해 4점 정도 남아있다.
손영옥 문화전문기자 yosoh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