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경원 전 의원이 10일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직 사의를 표명했다.
국민의힘 당대표 선거 출마를 고민 중인 나 전 의원은 앞서 정부와 조율 없이 ‘출산 시 대출 탕감’ 발언을 내놔 대통령실로부터 두 차례나 공개 경고를 받았다. 나 전 의원의 자진 사퇴가 당권 도전을 위한 사전 정지작업인지, 아니면 당대표 선거 불출마 신호인지를 놓고 해석이 엇갈린다.
나 전 의원은 이날 김대기 대통령실 비서실장을 통해 윤석열 대통령에게 사직 의사를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나 전 의원은 이날 자택 앞에서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께 심려를 끼쳐서 사의를 표명했다”면서 “대한민국과 국민의힘, 대통령에게 어떤 결정이 도움이 될지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당권 도전 여부를 설 전에 결심한다고 보면 되느냐’는 질문에는 “그렇게 하죠”라고 답했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대통령 직속 기구로, 윤 대통령이 위원장을 맡고 있다. 장관급 정무직인 저출산위 부위원장의 임기는 3년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10월 13일 나 전 의원을 부위원장에 임명했다. 나 전 의원은 대통령실의 잇단 경고에 부담을 느끼고 재임 3개월 만에 사의를 밝힌 것이다. 다만 나 전 의원의 부위원장직 사퇴가 당대표 선거 출마로 이어질 수 있어 윤 대통령이 사의를 반려하거나 당분간 사의 수리를 보류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친윤(친윤석열)계의 공격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친윤계 의원들은 “전당대회에 출마하려면 정부 직책을 서둘러 내려놓는 것이 순리”라고 나 전 의원을 압박했다. 유승민 전 의원은 이날 KBS 인터뷰에서 “대통령실에서 (나 전 의원을) 딱 지목하니까 윤핵관들이 달려들어서 집단 린치를 하고 왕따를 시키고 있다”며 “당이 이렇게 거꾸로 가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나 전 의원은 당대표 출마와 관련해선 장고를 이어가고 있다. 나 전 의원은 저출산위 민간위원 간담회와 국민의힘 경기도당 신년인사회 등 이날 예정된 모든 일정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대신 나 전 의원은 친윤계 핵심인 이철규 의원을 서울의 한 호텔에서 만났다. 회동 직후 나 전 의원은 당대표 출마 여부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조금 더 생각해보겠다”고 답했다. 이 의원도 “본인(나 전 의원)이 알아서 하시겠지”라며 답변을 피했다.
그러나 나 전 의원이 부위원장직을 내려놓으면서 당권 도전 쪽으로 기운 것 아니냐는 전망에 조금 더 힘이 실리는 상황이다.
나 전 의원은 11일 서울 동작구 신년인사회에 참석하며 공개 행보를 재개한다. 나 전 의원 측 관계자는 “원래 정해져 있던 일정”이라며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이어 “나 전 의원이 갑자기 코너에 몰리면서 전당대회에 안 나가는 것도 문제, 나가는 것도 문제인 진퇴양난의 처지가 됐다”고 말했다.
한편 국민의힘 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회는 당대표와 최고위원 후보자 등록일을 2월 2~3일로 결정했다.
구승은 기자 gugiz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