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보다 30대 초혼 여성이 더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1990년 통계 작성 이후 31년 만에 처음이다. 홀로 사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구직 기간도 길어지면서 결혼 연령대가 높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10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2021년 혼인 건수 19만3000건 중 여성이 초혼인 경우는 15만7000건이었다. 이 중 절반에 가까운 7만6900건(49.1%)은 여성의 나이가 30대였다. 이어 20대 7만1263건(45.5%), 40대 6564건(4.2%), 10대 798건(0.5%) 순이었다.
1990년 20대 여성의 초혼 건수는 33만3000건으로 30대 여성(1만9000건)의 18배에 달했다. 2000년에는 20대에 처음으로 결혼한 여성은 24만1000명으로 30대 여성(3만1000명)의 약 8배였다. 이후 격차는 점차 줄어 2021년 처음으로 30대 여성의 초혼 건수가 20대 여성을 앞질렀다.
남성은 2005년 30대 초혼 건수(12만1000건)가 20대 초혼 건수(11만9000건)를 앞질렀다. 1990년대에는 20대 첫 결혼을 한 남성이 28만9000명으로 30대(8만2000명)의 3배였다. 결혼 연령대가 갈수록 높아지면서 2021년 30대 남성의 초혼 건수(9만9000건)가 20대(4만4000건)의 2배를 웃돌았다.
평균 초혼 연령은 남성과 여성 모두 30세를 넘어섰다.
남성의 평균 초혼 연령은 1990년 27.79세였다가 2010년 30세를 넘어선 뒤 2021년 33.35세까지 높아졌다. 여성의 평균 초혼 연령도 1990년 24.78세에서 2021년 31.08세로 높아졌다.
세종=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