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중증 안정되면 내주 실내마스크 해제 논의”

입력 2023-01-10 04:09
방역당국이 코로나19 방역조치인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단계적으로 해제해 ‘권고’로 전환하기로 했다. 당국은 다만 의무 해제의 시점을 구체적으로 예고하는 대신 확진자와 위중증 추세 등 의무 해제 기준을 제시했다. 사진은 지난달 23일 서울의 한 대형 쇼핑몰에 비치된 실내 마스크 착용 안내문 모습. 연합뉴스

정기석 코로나19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회 위원장이 다음 주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 논의를 시작할 수 있다고 밝혔다. 중국의 코로나19 유행 상황이 국내에까지 미칠 파급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설 연휴 전후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정 위원장은 9일 브리핑에서 “이번 주에 (위중증 환자 수가) 안정되면서 꺾이는 모습을 보인다면 다음 주쯤에는 실내 마스크 의무 조정 논의를 정식으로 시작할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의 유행 확산세가 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관측에 대해서는 “조심스럽긴 하지만 우리가 예정한 일정표대로 갈 수 있지 않나 생각한다”고 했다.

정부는 지난달 4가지 지표 조건을 제시하며 2가지 이상 충족하면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 시기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었다. 이 중 확진자 2주 연속 감소, 4주 내 동원 가능한 중환자 병상 가용능력 50% 이상 구비 2가지 조건이 충족된 상태다.

정 위원장은 중국발 변이 유입이 국내 상황에 영향을 미칠 위험은 낮다고 봤다. 지난 8일 중국 출발 입국자 934명 중 단기체류자 180명 가운데 확진 판정을 받은 이는 7명으로 검사 인원 대비 3.9%에 그쳤다. 출발 48시간 전 받은 유전자증폭(PCR) 검사 음성확인서를 의무적으로 제출하도록 한 지난 5일의 23.5%, 6일 14.8%였던 것에 비하면 급감한 것이다.

그는 “지난달 시작된 중국의 (코로나19 유행) 상황이 정점을 찍고 대도시에서 내려가고 있는 추세”라고 진단했다. 이어 “중국 내 유행 변이는 (국내 우세종인) BA.5 계통이 95%로 대부분이어서 BA.4/5 기반 개량 백신 접종으로 충분히 대응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실내 마스크 의무 조정 논의를 위한 또 다른 지표인 입원 위중증 환자 수는 최근 줄어드는 추세다. 지난 2일 252일 만의 최대치인 637명을 기록하며 정점을 찍은 뒤 지난 5일부터는 600명선 아래로 내려왔다. 9일 0시 기준 위중증 환자는 전날보다 6명 늘어난 532명이다.

조효석 기자 prome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