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일본 사도(佐渡)광산에서 노역했던 조선인 이름이 700명 넘게 확인됐다. 조선인이 사도광산에서 탈출하거나 임시허가를 받아 조선에 돌아간 후 복귀하지 않는 등 노역이 강제적이었음을 보여주는 정황도 발견됐다. 일본 정부가 조선인 강제동원을 부정하며 사도광산을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려고 시도하는 가운데 일제의 가해 행위를 확인해주는 실마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정혜경 일제강제동원&평화연구회 대표연구위원은 사도광산 측이 광부들에게 담배를 배급할 때 작성한 이른바 ‘조선인 연초배급명부’(왼쪽) 3종과 부속 문서(오른쪽) 등을 분석해 사도광산에서 일한 조선인 745명의 이름을 확인했다고 9일 밝혔다.
사도광산 측이 작성한 ‘사도광산사’에는 1945년에 조선인이 1519명 있었다는 기록이 나온다. 하지만 누가 동원됐는지 일괄적으로 알 수 있는 명부가 없어 피해자 조사에 어려움이 있었다. 기존에 한국 정부에 신고한 사도광산 피해자는 약 150명이다.
연초명부에는 조선인의 동향도 일부 기재됐다. 1945년 6월 20일 자 연초명부를 보면 같은 숙소에 머물던 11명 가운데 7명이 탈출했고 3명이 검거됐다. 일반적인 상황이라면 노동자가 일터에 나오지 않는 것을 결근, 사직, 퇴사 등으로 분류해야겠지만 사도광산 측은 ‘도주(逃走)’라고 표현했다.
연초명부의 부속 문서에는 조선에 잠시 다녀올 수 있는 ‘일시귀선(一時歸鮮) 증명서’를 받고 돌아간 이들 가운데 27명이 기한 내에 복귀하지 않았다는 기록도 있다.
정 위원은 이런 기록이 조선인이 원하지 않는 환경에서 강제로 일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김남중 선임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