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의 에너지·석유화학 부문을 이끌고 있는 김준 SK이노베이션 부회장이 ‘일렉트리피케이션’(전기화)과 ‘리사이클’(재활용)으로 친환경 사업자로의 ‘녹색 대전환’(그린 트랜스포메이션)을 이뤄내겠다고 밝혔다.
세계 최대 테크 박람회인 ‘CES 2023’에 참석한 김 부회장은 지난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의 한 식당에서 기자들과 만나 “SK이노베이션은 지금까지 세상을 움직이는 원동력을 제공해왔다. 다만 지금까지의 60년은 ‘카본 베이스’였다면 다가올 60년은 ‘제로 카본 베이스’로 그 역할을 지속하겠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창사 60주년을 맞은 SK이노베이션은 창립 100주년을 맞이하는 2062년까지 그동안 배출한 모든 탄소를 상쇄해 ‘올 타임 넷 제로’를 달성하겠다는 비전을 선포했었다. 김 부회장은 “SK이노베이션의 주력산업이 그동안 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 건 사실”이라며 “그만큼 극복하는 부분을 보여줘야 하는 게 우리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김 부회장은 발생하는 탄소를 줄여나가는 건 시대의 흐름이라고 설명했다. 탄소감축이 예정된 미래라고 했던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말과 궤도를 같이 한다. 김 부회장은 “미래에는 가솔린, 디젤 등 수송용 연료가 다 없어질 것이다. 그렇게 되면 우리가 가진 정유 설비를 돌릴 필요가 없어진다. 설비가 좌초자산이 되지 않게끔 해야 한다. 정유 설비를 저탄소나 무탄소 개념으로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SK이노베이션이 찾은 생존 전략은 전기화와 재활용이다. 그는 “우리가 배터리를 시작한 이유도 그것 때문이다. 전기로 바뀌는데 그 영역에서 비즈니스를 하려면 배터리를 해야지 않겠느냐”며 “여태까지 가솔린, 디젤을 팔았다면 이제 로우 카본 나아가 제로 카본으로 가자는 것”이라고 했다.
SK이노베이션은 배터리에서 멈추지 않고 탄소중립을 위한 발전 에너지원 기술 확보에도 나서고 있다. SK㈜와 함께 미국 소형모듈원자(SMR)로 설계기업 ‘테라파워’에 2억5000만달러 규모의 지분 투자했고, 암모니아 기반 연료전지 시스템 기업 ‘아모지’에도 투자했다. 소규모 분산형 발전방식도 친환경 전환의 한 방법이다. 소규모 연료전지나 신재생에너지로 전력을 생산해 가까운 지역에 에너지를 직접 공급하는 방식이다.
라스베이거스=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