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규모가 줄면서 앞서 정부가 발표했던 실내 마스크 착용의무 조정 기준을 충족했다. 다만 중국발 유입 변수가 떠오르면서 정부의 고심이 커지고 있다.
방역 당국 관계자는 8일 “4개 지표 중 2개 지표가 참고치에 도달했지만 참고치는 절대적 기준이 아니다”며 “신규 변이 및 해외 상황 등 추가 고려사항을 포함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논의를 통해 종합적으로 판단·결정이 이뤄질 예정”이라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마스크 의무 조정 시기를 결정할 조건으로 4개 지표를 제시하며 이 중 최소 2개를 충족해야 한다고 밝혔다. 주간 환자 발생 2주 연속 감소,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전주 대비 감소와 주간 치명률 0.10% 이하, 4주 내 동원 가능 중환자 병상 가용능력 50% 이상, 동절기 접종률 고령자 50%·감염취약시설 60% 이상인 경우다.
최근 최소 조건은 충족됐다. 주간 신규 확진자는 지난해 12월 셋째주 47만1195명에서 넷째주 45만8709명, 그다음 주인 지난 7일까지 41만4673명으로 연이어 줄었다. 중환자 병상 가용능력은 지난달 말 이미 68.7%였다.
당국이 신중한 건 중국의 코로나19 상황 때문이다. 지난 6일 중국발 입국자 1267명 중 단기체류자(291명)의 14.8%인 43명이 확진됐다. 전날에는 입국자 848명 중 단기체류자 153명의 23.5%인 36명이 확진됐다.
중국 춘제 기간은 추가 변수다. 단기체류비자 발급을 제한해도 중국의 입국 제한 조치가 해제되면서 한국에서 출발해 중국을 다녀가는 장기체류자도 상당할 전망이다. 법무부 통계상 2021년 기준 국내 체류 외국인 중 한국계 포함 중국인 비중은 전체 42.9%인 84만193명이다.
조효석 기자 promene@kmib.co.kr